[출처=연합]
[출처=연합]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올해 22년 만에 대만에 추월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만이 반도체를 중심으로 급속 성장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성장이 정체되고 있기 때문이다. 

14일 정부와 대만 통계청 등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430달러로 대만(3만8066달러)을 밑돌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우리 정부가 지난달 22일 제시한 올해 명목 GDP 성장률 전망치와 대만 통계청이 이달 10일 제시한 올해 1인당 GDP 전망치를 토대로 단순 비교한 것이다.

이런 전망이 현실화할 경우 한국은 지난 2003년 1만5211달러로 대만(1만4041달러)을 제친 후 22년 만에 역전당하게 된다.

양국의 1인당 GDP는 지난 2018년 1만달러 가까이 벌어지기도 했지만 이후 차이가 빠르게 줄었다. 지난해에는 한국 3만5129달러, 대만 3만3437달러로 근소했다. 

대만의 올해 GDP 성장은 전 세계적인 인공지능(AI) 성장에 따른 반도체 수출 증가가 견인하고 있다.

올해 2분기 대만의 실질 GDP는 전년 동기 대비 8.01% 증가해 지난 2021년 2분기(8.2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를 반영해 대만 통계청은 지난달 15일 올해 실질 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3.10%에서 4.45%로 상향 조정했다. 내년 전망치는 2.81%로 제시했다.

반면에 한국은 올해 2분기 실질 GDP가 전 분기 대비 0.7% 증가하는 데 그쳤다. 작년 동기 대비로는 0.6%로 대만과 차이가 컸다.

하반기 들어 민간 소비를 중심으로 내수 경기가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정책에 따른 수출 경기 위축 등 대외 불확실성이 여전한 상황이다. 

정부는 올해와 내년의 실질 GDP 성장률이 각 0.9%, 1.8%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올해 잠재성장률(1.9%)을 계속 밑돌 것으로 지난달 22일 내다봤다.

이에 따라 상징적인 1인당 GDP 4만달러도 대만이 한국보다 먼저 달성할 가능성이 커졌다.

대만 통계청은 당장 내년에 자국 1인당 GDP가 4만1019달러에 달해 사상 처음 4만달러대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한국은 정부의 내년 경상 성장률 전망치(3.9%)를 대입하더라도 1인당 GDP가 답보 상태를 벗어나지 못해 3만8947달러에 그칠 것으로 추정된다.

박정우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글로벌 AI 붐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는 대만 테크 기업들이 국내 투자도 공격적으로 하고 있다"며 "대만 잠재성장률이 3%를 웃돌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이어 "한국은 잠재성장률이 올해 2% 미만으로 추정되고 있기 때문에 한국과 대만의 소득 격차도 갈수록 더 벌어질 것"이라며 "최근 몇 년 사이 한국 테크 기업들의 위상과 역할이 급격히 위축되는 점을 직시하고, 대만 기업들을 따라잡기 위한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고 봤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