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서울시]
[출처=서울시]

서울시는 청년층과 국내외 유학생이 전월세 계약 절차를 제대로 이해하고 전세사기를 예방할 수 있도록 '청년 맞춤형 부동산 교육'을 실시한다고 16일 밝혔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전세사기 피해 건수는 누적 3만1437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 약 75%, 2만3673건이 사회 초년생과 대학생 등 2030세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시는 SH공사와 협업해 실제 피해 사례와 계약 과정별 점검 사항을 중심으로 청년 눈높이에 맞춘 교육을 제공한다. 강의는 구독자 11만 명을 보유한 부동산 전문 유튜버 손희애 강사 등이 맡는다.

교육 내용에는 △시세 확인 △무등록 중개업소 여부 △임대인 세금 체납 여부 △부동산전자계약시스템 활용 장점 △주택임대차 표준계약서 권장 △등기 확인 △전입신고·확정일자 확인 △기존 세입자 전출 여부 등 계약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항목이 포함됐다.

또 청년들의 보증금 미반환 피해가 늘어나는 상황을 고려해, 입주 전 보증보험 가입 여부와 등기사항전부증명서상의 근저당·가압류 확인 절차 등 예방 교육도 함께 진행한다.

서울시는 오는 10월 서울 거주 국내외 유학생을 대상으로 '서울 유학생 웰컴데이'를 열고 전세 계약 시 유의사항과 사기 예방 요령을 안내할 예정이다. 글로벌 공인중개사무소와 협력해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며, 현재 외국인 전용 중개사무소는 267개소가 운영 중이다. 교육 신청은 '서울 부동산 정보광장'을 통해 가능하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이번 교육을 통해 청년층이 스스로 전월세 계약 절차를 점검하고 전세사기 수법을 사전에 파악해 피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청년과 유학생이 안심하고 거주할 수 있는 주거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