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KB국민은행 신관에서 전 금융권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 등과 개최한 긴급 회의에서 최근 금융권을 겨냥한 사이버 위협에 대해 최고수준의 경각심을 갖고, 전사적 차원에서 금융보안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출처=금융위원회]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KB국민은행 신관에서 전 금융권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 등과 개최한 긴급 회의에서 최근 금융권을 겨냥한 사이버 위협에 대해 최고수준의 경각심을 갖고, 전사적 차원에서 금융보안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출처=금융위원회]

금융당국이 롯데카드 대규모 정보유출 사태를 계기로 금융권에 ‘보안 총력전’을 주문했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23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긴급회의에서 “전 금융회사 최고경영자(CEO)는 전수 점검과 내부 관리체계 마련을 서둘러 달라”며 “사운을 걸고 보안을 챙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회의에는 은행, 카드, 보험, 증권 등 전 업권에서 약 180명의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가 참석했다.

권 부위원장은 “보안을 귀찮은 부차적 업무로 치부해온 측면이 있었다”며 “CEO 책임하에 전산 시스템과 정보보호 체계 전반을 전면 점검하고 문제 요소를 샅샅이 찾아 정부와 공유해달라”고 말했다.

또 “CISO가 독립적으로 보안을 챙길 수 있도록 권한을 보장하고, 전산 보안 인력과 설비를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며 금융사의 상시적·체계적 보안 관리 체계 구축을 당부했다.

침해사고 발생에 대비한 비상 대응 매뉴얼과 소비자보호 대응 체계도 고도화하라고 지시했다.

그는 “실제 사고 발생을 가정해 상황별 대처 요령을 치밀하게 담은 위기 대응 매뉴얼을 마련해야 한다”며 “침해사고 발생 시 사실을 신속·정확하게 정부와 고객에게 알리고, 피해 복구와 구제를 즉각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금융감독원과 금융보안원에는 금융사의 점검 결과와 위기 대응 체계를 면밀히 살피도록 지시했다. 금융당국은 징벌적 과징금 도입, 보안 수준 비교 공시, CISO 권한 강화 등 제도 개선도 신속히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