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금융투자협회]
[출처= 금융투자협회]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를 통한 금융투자상품의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국내 자산에 대한 투자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투자협회는 8월 말 기준 ISA 내 주식, ETF, 펀드 등 금융투자상품의 운용 규모가 30조원에 달해 전체 ISA 자산(45.2조원) 중 66.4%를 차지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말 59.0%에서 7.4%p 증가한 수치로, 운용 규모로는 10.3조원이 늘었다.

같은 기간 예·적금 자산은 13.7조원에서 15.2조원으로 증가했지만, 전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1.0%에서 33.6%로 감소했다.

금융투자상품 내에서도 국내 투자 비중이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2024년 말 기준 ISA 내 국내 투자 금융상품은 12.8조원(비중 65.0%)에서 올해 8월 말 19.8조원(비중 66.0%)으로 증가했다. 반면, 해외 투자상품은 규모는 6.9조원에서 10.2조원으로 늘었지만, 비중은 35.0%에서 34.0%로 소폭 하락했다.

상품별로 보면 ETF에서 국내 투자 비중은 21.2%에서 27.3%로 6.1%p 증가했고, 국내 펀드 비중도 45.6%에서 47.9%로 2.3%p 상승했다. 국내 주식 역시 6.1조원에서 9.4조원으로 3.3조원 증가해 전체 금융투자상품 내 비중이 30.7%에서 31.4%로 늘었다.

ISA는 2016년 도입된 계좌형 종합 자산관리 상품으로, 다양한 금융상품을 한 계좌에서 운용할 수 있고 세제 혜택도 받을 수 있다. 일정 기간 경과 후 발생한 순이익에 대해 일반형은 최대 200만원, 서민형은 최대 400만원까지 비과세 혜택이 주어지며, 초과분은 9.9%의 분리과세가 적용된다.

과거에는 양도차익 비과세가 적용되지 않는 국내 상장 해외주식형 ETF나 분배금 과세가 있는 ETF 등에 대한 절세 효과가 제한돼 해외 투자상품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최근 국내 증시 활황과 투자심리 회복으로 국내 금융자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환태 금융투자협회 산업시장본부장은 “ISA를 통한 자산관리 수요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며 “세제 혜택 확대와 가입 연령 완화 등 장기투자 인센티브가 강화되면 국내 자본시장으로의 자금 유입도 가속화돼 생산적 금융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