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금융투자협회]
[출처= 금융투자협회]

펀드 판매잔고가 사상 처음으로 1000조원을 넘어섰다.

금융투자협회는 지난 8월 말 기준 전체 펀드 판매잔고가 1002조9890억원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말보다 130조원 이상 증가한 규모다.

펀드 판매잔고는 증권사, 은행 등 금융회사의 영업망을 통해 판매된 펀드 규모를 뜻한다. ETF, 부동산펀드, 특별자산펀드 등 상장시장에서 거래되는 펀드는 제외된다. 지난해 말 872.8조원이던 판매잔고는 올해 들어 14.9% 불어나며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공모펀드와 사모펀드 모두 성장세를 보였다. 일반 투자자가 주로 가입하는 공모펀드는 302.5조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69.5조원(29.8%) 늘었다. 전문투자자 중심의 사모펀드는 700.5조원으로 60.6조원(9.5%)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단기금융펀드(MMF)가 224.7조원으로 전체 판매잔고의 22.4%를 차지했다. 이어 부동산펀드가 185.7조원(18.5%), 채권형펀드가 172.5조원(17.2%)으로 뒤를 이었다. 공모펀드에서는 MMF(165.8조원·54.8%)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채권형(52.4조원·17.3%)과 주식형(28조원·9.3%)이 뒤를 이었다. 사모펀드에서는 부동산펀드(185.1조원·26.4%)와 특별자산펀드(148.2조원·21.2%)가 주류를 이뤘다.

판매 주체별로는 증권사가 799.5조원(79.7%)으로 압도적 비중을 보였다. 은행은 112조원(11.2%), 보험사는 12.1조원(1.2%)에 그쳤다. 고객 유형별로는 금융기관 법인이 666.5조원으로 가장 많은 비중(66.5%)을 차지했다. 일반 법인은 236.9조원(23.6%), 개인은 99.6조원(9.9%) 수준이었다. 개인투자자의 경우 주식형펀드(20.7조원·20.7%)와 MMF(20.2조원·20.3%)가 비슷한 비중을 차지했다.

펀드 계좌수는 총 3602만개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공모펀드가 3593만개(99.8%)를 차지하며 절대 다수를 기록했고, 사모펀드는 9만개(0.2%)에 불과했다.

이환태 금융투자협회 산업시장본부장은 “펀드는 국민의 자산관리와 재산 증식에 활용되는 대표적 투자수단”이라며 “생산적 금융으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펀드 시장의 성장은 한국 경제의 재도약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ETF 등 상장펀드를 포함한 전체 펀드 시장 규모는 8월 말 기준 순자산총액(NAV) 1308.8조원으로 집계됐다. 공모펀드는 578.1조원, 사모펀드는 730.7조원이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