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자들이 채용 공고를 살펴보는 모습. [출처=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09/1680444_697729_2048.png)
최근 10년 동안 20대 청년층의 실질소득 증가율이 전 세대 가운데 가장 낮았다는 분석이 나왔다.
29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발표한 ‘2014∼2024년 세대별 실질소득 추이 분석’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24년까지 20대의 실질소득 연평균 증가율은 1.9%에 그쳤다. 이는 40대(2.1%), 50대(2.2%), 30대(3.1%), 60대 이상(5.2%)보다도 낮은 수치다.
특히 20대는 최근 들어 소득 증가세가 더 둔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2014∼2019년 사이 연평균 2.6%의 증가율을 기록했지만 2019∼2024년에는 1.1%로 절반 이상 줄었다. 보고서는 청년층의 낮은 실질소득 증가율 배경으로 고용의 질적 저하를 지목했다.
지난 10년간 20대 근로소득 증가율은 연 3.6%로 다른 세대에 비해 가장 낮았다. 같은 기간 청년 실업률은 9.0%에서 5.8%로 3.2%포인트 줄고 고용률도 57.4%에서 61.0%로 올랐지만 비정규직 비율은 32.0%에서 43.1%로 11.1%포인트 상승했다.
체감물가 상승 역시 청년층 소득 체감에 큰 영향을 미쳤다. 20대 명목 가처분소득 증가율은 2014∼2019년 연 3.8%에서 2019∼2024년 4.0%로 소폭 오르는 데 그쳤지만 같은 기간 체감물가 상승률은 1.1%에서 2.8%로 두 배 이상 뛰었다.
특히 외식·숙박 물가가 청년층 부담을 키웠다. 2019∼2024년 음식·숙박 물가는 연 4.0% 오르면서 전체 소비 항목 중 식료품·비주류음료(5.1%) 다음으로 높은 상승폭을 보였다.
한경협은 “청년층의 실질소득 개선을 위해서는 고용훈련 강화,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 노동시장 정책의 다변화가 필요하다”며 “외식비 안정화를 위해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과 원재료비 부담 완화도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