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범 한경협 부회장이 25일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삼성, SK, 현대차, LG 등 주요 그룹 CHO(최고 인사 책임자)를 초청해 연 '청년 일자리 개선을 위한 주요 그룹 간담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출처=한국경제인협회]
김창범 한경협 부회장이 25일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삼성, SK, 현대차, LG 등 주요 그룹 CHO(최고 인사 책임자)를 초청해 연 '청년 일자리 개선을 위한 주요 그룹 간담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출처=한국경제인협회]

청년 고용 한파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주요 그룹들이 청년 일자리 창출 해법을 논의하기 위해 한자리에 모였다. 

한국경제인협회는 25일 여의도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청년 일자리 개선을 위한 주요 그룹 간담회'를 열고 각 그룹의 최고인사책임자(CHO)를 초청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삼성, SK, 현대차, LG 등 4대 그룹을 비롯해 포스코, 롯데, 한화, HD현대, GS, 신세계, KT, CJ, LS, 미래에셋, 현대백화점, HDC, 코오롱, 삼양, 풍산, 한국투자금융, 영원무역 등 굵직한 기업들이 대거 참석해 청년 고용 개선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김창범 한경협 상근부회장은 개회사에서 "청년 실업의 장기화는 인적자본 경쟁력을 떨어뜨리고 성장잠재력을 위축시켜 국가 경제에 심각한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며 "이번 간담회가 우리 경제의 미래를 책임질 청년들의 일자리 해법을 찾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참석한 CHO들은 현 청년 고용 시장의 어려움에 깊이 공감하며, 실제 청년들이 체감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데 중지를 모았다.

논의 과정에서는 장기 구직 실패로 취업 의지가 꺾인 청년들을 지원하기 위해 인턴십, 채용박람회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더 많은 일 경험 기회를 제공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신입 채용 비중 확대를 포함한 정기 채용 활성화 방안도 중요한 과제로 언급됐다.

또 최근 경기 침체로 기업 전반의 실적이 부진해 고용 여력이 크게 줄어든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청년 채용을 늘리는 기업들에는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재계는 공통적으로 강조했다.

한경협은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주요 그룹들의 의견을 정리해, 기업의 고용 여력을 높이는 정책 과제를 도출해 정부에 제안할 방침이다. 

이날 논의된 핵심 과제로는 △청년 고용에 대한 세제 지원과 인센티브 확대 △노동시장 유연화 △정년연장 속도 조절 등이 제시됐다. 한경협과 주요 그룹들은 이러한 정책적 뒷받침과 민관 협력이 병행될 때 지속가능한 청년 고용 환경을 만들 수 있다는 데 뜻을 모았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