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서구 한 공사현장, 기사와 무관. [출처=EBN]
서울 강서구 한 공사현장, 기사와 무관. [출처=EBN]

국정감사 시즌이 다가오면서 건설업계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연이은 건설현장 중대재해로 건설사 최고경영자(CEO)와 임원진이 대거 증인석에 오를 예정이기 때문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국토위)와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환노위)는 산업재해 문제를 정조준하며 건설사들을 정면 겨냥하고 있다.

◆ 상위 10개社 중 8곳 CEO 소환

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국토위는 국내 시공능력평가 상위 10대 건설사 중 8곳의 CEO를 오는 13일 국토교통부 국정감사 증인으로 신청했다. △김보현 대우건설 대표 △정경구 HDC현대산업개발 대표 △주우정 현대엔지니어링 대표 △송치영 포스코이앤씨 사장 △허윤홍 GS건설 사장 △이해욱 DL그룹 회장 △박현철 롯데건설 대표 △박세창 금호건설 부회장이 증인 명단에 포함됐다.

건설현장에서 인명 피해가 잇따르자, 국회가 경영진을 직접 불러 안전관리 책임을 따지고 대책 마련을 압박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 중 일부 건설사들은 두 개 이상의 상임위 국감에 동시 소환되는 이중고를 겪는다.

현대엔지니어링 주우정 대표는 '서울~세종 고속도로 교량 붕괴 사고'와 함께 '건설업계 산재 최다 발생 기업' 불명예로 환노위 증인 명단에도 이름을 올렸다.

포스코이앤씨 송치영 사장 역시 '광명 신안산선 공사 현장 붕괴 사고'와 '업계 산재 2위 기록'을 이유로 환노위 국감 출석을 요구받았다.

현대건설 이한우 대표는 상황이 더욱 복잡하다. 산재 문제를 넘어, '가덕도 신공항 수의계약 파기 논란', '윤석열 정부 시절 대통령 관저 공사 특혜 의혹'이 겹치면서, 국토위는 물론 법제사법위원회(법사위) 국감에도 증인으로 설 예정이다.

법제사법위원회(법사위)는 오는 16일 감사원 국정감사에서 현대건설을 정조준할 예정이다. 대통령 관저 공사를 사실상 무상으로 수행한 대가로 800억원대 영빈관 공사 수주를 약속받았다는 의혹, 다른 현장 공사를 통해 공사비를 우회 지급했다는 정황 등이 집중 추궁될 전망이다.

이 대표 외에도 윤영준 현대건설 고문, 이진형 전 현대건설 상근자문 등이 증인·참고인 명단에 올랐다.

이번 국감은 단순한 사고 경위를 묻는 수준을 넘어, 반복되는 산재 구조와 경영진의 직접적인 책임을 따져 묻겠다는 국회의 강한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에 건설업계는 벌써부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국정감사에서 CEO가 직접 증인석에 앉는 것은 기업 이미지에 큰 타격"이라며 "국회의 압박에 어떤 대응책을 내놓을지가 이번 국감의 최대 관전 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