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단지. [출처=EBN]
서울 아파트 단지. [출처=EBN]

서울 아파트 공급 절벽이 가시화되면서, 경기권 직주근접 신축 아파트가 실수요자의 대체 선택지로 부상하고 있다. 서울 주요 업무지구까지의 빠른 접근성이 가격과 청약 성적에서 입증되자, 수요자 관심은 4분기 분양 예정지인 광명·김포·용인 수지 등으로 집중되고 있다.

8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임대 제외)은 △2026년 1만7687가구 △2027년 1만113가구 △2028년 8337가구로 추정됐다.

이는 직전 3년(2023~2025년) 8만7515가구와 비교할 때 58.7% 급감한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공급 공백이 길어질수록 서울 접근성이 우수한 외곽·인접 권역으로 수요 이동이 가속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 가격·청약 성적서도 ‘직주근접’ 효과

서울 도심·강남·여의도·가산디지털단지·마곡지구 등 주요 업무지구로 출퇴근이 편리한 경기 지역은 이미 집값 상승세가 두드러진다. 

올해 1~9월 경기 평균 아파트값은 0.96% 오르는 데 그친 반면, △성남(4.41%) △용인 수지(3.48%) △광명(1.25%) 등은 더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청약 시장 열기도 뜨겁다. 수원 영통구 '망포역푸르지오르마크'는 1순위 평균 14.36대 1을 기록하며, 최근 1년 경기 평균(3.52대 1)의 4배 수준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행정구역보다 실제 업무지구까지의 소요 시간이 주택 수요자의 핵심 고려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흐름 속에, 수요자의 시선은 분양 예정 단지로 향한다. 현대건설은 이달 중 광명뉴타운 11R구역에서 '힐스테이트 광명11(가칭)'을 선보인다. 

이 단지는 지하 5층~지상 42층, 25개 동 총 4291가구(일반분양 652가구) 규모로, 전용 39~84㎡ 중소형 위주로 구성된다.

단지는 7호선 광명사거리역 초역세권 입지로, 가산디지털단지까지 약 4분, 강남 고속터미널까지 30분대 접근이 가능하다. GTX-B 환승 기대감도 더해졌다. 

광명뉴타운은 완성 시 약 2만8000가구 규모의 신도시급 주거지로, 서울 구로·금천과 생활권을 공유하는 대표적 직주근접 지역으로 꼽힌다.

한 공인중개사 관계자는 "서울 공급 절벽이 현실화되면서 탈서울 수요가 3040세대를 중심으로 늘고 있다"며 "입지와 규모 면에서 상징성이 크고, 중소형 위주 구성으로 분양가 부담도 적어 청약 흥행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