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여의도 증권가 전경. [출처= EBN]
서울 여의도 증권가 전경. [출처= EBN]

글로벌 ETF 시장에서 액티브 ETF가 새로운 성장축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액티브 ETF 시장도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다만 국내 시장에서 아직 주식형 부문에서 한계가 뚜렷해 제도 개선과 상품 다변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5일 자본시장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말 이후 2025년 5월 말까지 글로벌 ETF 운용자산(AUM)은 154% 증가한 반면, 액티브 ETF 시장은 무려 773% 성장했다. 특히 미국에서는 액티브 ETF 펀드 수가 패시브 ETF를 넘어섰으며, 전체 ETF 신규자금 유입의 36%를 차지할 정도로 존재감을 확대했다.

액티브 ETF는 비교지수 대비 초과수익을 창출하는 만큼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 ETF 대비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도 높다. 자산운용사들도 패시브 ETF 보다 보수율이 높은 액티브 ETF로 수익성 개선을 꾀할 수 있게 됐다.

국내 시장도 해외 시장도 액티브 ETF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양상은 다르게 나타나는 모습이다.

미국의 경우 2019년 당시 액티브 ETF 자산의 76%가 채권형이었으나, 2025년에는 주식형 비중이 62%까지 치솟으며 ‘주식형 중심’으로 판도가 바뀌었다. 팬데믹 이후 주가 변동성이 커지자 투자자들이 초과수익(알파)을 추구하는 수단으로 액티브 ETF를 선택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2019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도입한 Rule 6c-11은 승인·상장 절차를 간소화하고, ‘커스텀 바스켓’을 전면 허용하면서 세제 효율성을 높여 액티브 ETF 성장에 기폭제가 됐다. 호주·캐나다·룩셈부르크 등도 비슷한 친화적 규제 환경을 마련해 시장 확대를 뒷받침했다.

한국도 액티브 ETF가 빠르게 안착했지만 주식형의 성장은 미흡하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액티브 ETF 순자산총액은 2020년 말 2.1조원에서 2025년 5월 말 70.9조원으로 급증했으나, 이 중 주식형 비중은 9%에 불과했다. 반면 채권형과 금리형이 76%를 차지하며 쏠림 현상이 두드러졌다.

특히 국내 액티브 주식형 ETF는 테마·레버리지·특정 종목 연계형 전략이 67%를 차지해 위험 노출이 높았다. 반면 미국은 옵션을 활용한 유형이 활발해 리스크 관리 수단으로도 활용되고 있어 대조적이라는 평가다.

국내에서는 자본시장법상 ETF가 ‘지수 연동’ 상품으로 정의돼 있어 액티브 ETF도 추종지수와의 상관계수(0.7 이상)를 유지해야 하고, 자산구성내역을 매일 공시해야 한다. 이는 해외 주요국에서 허용되는 비투명 ETF 도입이나 운용 전략 혁신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김재칠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국내 액티브 ETF의 의미 있는 성장을 위해서는 주식형이 핵심 자산군으로 부상해야 한다”면서 △장기 운용성과 축적 △상품 구조의 다양화(버퍼형·리스크관리형 등) △투자자 비용 부담 완화가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또한 “금융당국이 ETF 승인·상장 절차 간소화, 상관계수 요건 완화, 공모펀드 상장클래스 활성화를 통해 저렴하고 혁신적인 상품 공급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