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 낀 여의도 증권가 전경.[출처=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10/1681289_698687_1332.jpeg)
추석 연휴가 끝나고 국회 정무위원회의 국정감사 일정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증권업계에 긴장감이 지속될 전망이다.
이미 증인 명단이 발표된 가운데 증권사 CEO 등이 포함되지 않아 한숨을 돌린 모습이지만, 정치권과 업계 모두 여전히 추가 증인 채택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정무위는 지난달 29일 전체회의를 열고 국정감사 일반 증인 32명과 참고인 9명 등 총 41명을 확정했다. 정무위는 오는 10월 14일부터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공정거래위원회를 시작으로, 금융위원회(20일), 금융감독원(21일), 종합감사(28일)로 이어지는 일정에 돌입한다.
이번 증인 명단에는 KT, 삼성전자, 쿠팡, SK그룹, 홈플러스 등 주요 기업 총수와 경영진이 대거 포함됐지만, 금융권에서는 메리츠금융지주 등 일부 사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CEO가 빠졌다.
특히 최근 몇 년간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모펀드 부실, 내부자 거래 의혹 등으로 증권사들이 논란의 중심에 섰던 것을 감안하면 의외라는 반응도 나온다.
하지만 증권업계의 긴장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았다. 국정감사 증인은 여야 간사의 협의에 따라 감사를 진행하는 도중에도 추가 지정이 가능하다. 실제로 지난해에도 정무위는 국감 막판 하이투자증권, 메리츠증권, 한국투자증권 등 주요 증권사 대표들을 줄줄이 증인석에 세운 전례가 있다.
올해도 후보군은 존재한다. 황성엽 신영증권 대표는 자사주 대량 보유 이슈와 함께, 홈플러스 단기채권 발행 주관을 둘러싸고 MBK파트너스와의 갈등이 부각되며 국감장 호출 가능성이 제기된다. 특히 여당이 자사주 소각 의무화 등 3차 상법 개정에 주목하고 있는데 신영증권은 자사주 보유 비중이 53%에 달한다.
엄주성 키움증권 대표 역시 정치권 인사와 연루된 사모펀드 간접 투자 의혹이 불거지며 주목받고 있다. 키움증권은 김건희 여사 측근 김예성 씨가 관여한 IMS모빌리티에 약 10억원을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도 수차례 발생한 전산장애로 금융소비자 피해가 반복된 것을 문제 삼을 가능성도 있다.
한편, 증권업계는 ‘무사통과’를 기대하면서도 뒤늦은 호출에 대비해 법무 및 대외협력 라인을 중심으로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 사례에서 보듯, 단일 이슈로도 수장의 국감 출석이 이뤄지는 만큼 리스크 요인을 면밀히 점검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