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 워싱턴 DC 월라드 인터콘티넨탈호텔에서 열린 한미 제조업 파트너십 양해각서(MOU) 체결식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과 대화하고 있다. [출처=산업통상자원부 ]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 워싱턴 DC 월라드 인터콘티넨탈호텔에서 열린 한미 제조업 파트너십 양해각서(MOU) 체결식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과 대화하고 있다. [출처=산업통상자원부 ]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한미 관세 협상과 관련해 “외환시장 민감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고 6일 밝혔다. 정부는 대규모 대미 투자에 따른 외환시장 충격을 우려하며, 미국 측에 통화스와프 체결을 사실상 조건으로 내세운 상태다.

김 장관은 이날 미국 방문을 마치고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을 통해 귀국하는 길에 “우리가 보낸 안에 대해, 특히 외환 시장 상황에 대해 서로 이견을 좁혀가는 중”이라며 “이번 딜에서 한국 외환시장의 민감성에 대해 상당한 공감대가 이뤄졌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지난 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과 후속 협의를 가졌다. 이번 방미는 대통령실 핵심 인사만 인지하고 산업부 내부에도 공유되지 않은 전격 방문이었다. 그는 “연휴였고 마침 시간이 돼 다녀온 것”이라며 “극비 방문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한국과 미국은 지난 7월 말 미국이 한국에 부과하기로 한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고, 한국은 총 3500억 달러(약 493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를 시행하기로 큰 틀에서 합의한 바 있다. 그러나 투자 방식, 이익 배분 등 구체적 사항에 대한 이견으로 문서화 작업은 지연되고 있다.

김 장관은 이번 협상에서 통화스와프 관련 진전이 있었는지 묻자 “논의가 있었다”며 “무제한 스와프이냐의 문제보다 외환시장에 미치는 민감한 영향에 대해 상호 공감대가 있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의 대미 투자에 대해 ‘선불’ 언급을 했다는 보도에 대해서는 “그런 논의는 없었다”고 선을 그었으며, 투자처나 방식에 대한 구체적 협의도 아직은 이뤄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전날에는 대통령실 주재 통상현안 대책 회의에 화상으로 참석해 “우리 외환 시장과 국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중요하다”며 “한미 관계의 중요성과 국익, 시장 안정성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고 전했다.

한미 간 추가 접촉 가능성에 대해선 “공감대가 있었기 때문에 머지않아 다시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달 29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시진핑 중국 주석과 정상회담을 위해 경주를 방문하기 전, 또 한 차례 실무 협상이 이뤄질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시사했다.

정부는 현재 대미 투자 계획과 외환시장 안정 조치, 통화스와프 체결 논의 등을 포함한 종합적 합의안을 도출하기 위해 속도를 내고 있다. 한미 양국 간 협상이 전략적 국익과 금융시장 안정을 모두 충족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