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오픈AI 샘 올트먼 대표와 악수하고 있다. [출처=연합]
이재명 대통령이 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오픈AI 샘 올트먼 대표와 악수하고 있다. [출처=연합]

AI 시대를 맞아 한국 메모리 반도체가 다시 세계 산업의 중심 무대로 떠오르고 있다. 오픈AI가 한국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급증하는 글로벌 수요에 맞춰 차세대 메모리 공급을 본격화한다.

이재명 대통령은 1일 오후 6시 청와대에서 샘 올트먼 오픈AI CEO를 접견했다. 이 자리에는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그리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관계자들이 함께 참석해 반도체와 AI 분야 포괄적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오픈AI는 최근 '오픈AI 코리아'를 출범하며 한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삼성, SK하이닉스와 각각 협력의향서(LoI)를 체결했다. 

이번 면담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스타게이트 메모리 반도체 파트너십'을 협의했다. 해당 파트너십은 오픈AI의 글로벌 AI 인프라 투자 과정에서 삼성과 SK하이닉스가 첨단 메모리 반도체를 대규모 공급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스타게이트는 오는 2029년까지 최대 5000억달러(약 700조원)를 투입해 미국 내 AI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구축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이 과정에서 오픈AI는 웨이퍼 기준 월 90만 매에 달하는 고성능 D램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 규모가 340억달러(약 48조원)인 점을 감안하면, 단순 계산만으로도 100조원 규모의 수요가 한국 기업에 몰리는 셈이다.

양측은 또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 AI 인프라 확충을 위해 기업 간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번 합의는 한국 반도체 제조사들이 급성장이 예상되는 글로벌 AI 인프라 시장을 선점하고, 국내 반도체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 국가적으로도 수출 확대와 일자리 창출 등 경제적 파급효과가 상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글로벌 AI 선도기업인 오픈AI와의 협력은 국내 AI 생태계 경쟁력 강화에도 직결된다. 이는 정부가 추진 중인 'AI 3대 강국(G3)' 도약 전략에도 속도를 붙일 것으로 보인다.

산업부는 이번 파트너십을 계기로 한국 반도체가 글로벌 AI 대전환을 이끄는 핵심 인프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특히 팹리스, 파운드리, 소재·부품·장비 기업 등 반도체 전 생태계가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K-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 △국가첨단전략산업 소부장 중소·중견기업 투자지원금 등 구체적 지원책을 조속히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