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
[출처=연합]

한일 양국 경제계가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아 제조업 중심의 협력을 넘어 문화·콘텐츠와 신산업 분야까지 확장하는 '한일 경제협력 2.0' 시대를 선언했다. 

양국은 양자에서 다자, 양적 교류에서 질적 교류로 협력 방향을 전환하고 이를 뒷받침할 제도적 틀 마련에도 뜻을 모았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일본 경제단체연합회과 도쿄 경단련회관에서 제32회 한일재계회의를 개최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한일재계회의에는 한국측 기업인 14명·일본측 11명이 참석했다. 한국에서는 류진 한경협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김윤 삼양홀딩스 회장,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 등이, 일본에서는 츠츠이 요시노부 경단련 회장 등이 자리했다.

류 회장은 개회사에서 "60년 신뢰를 기반으로 한일 경제협력 2.0 시대를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국제무대에서의 협력과 공급망 재편 △수소·미래차 표준 △자원안보 △한미일 협력 △한국의 CPTPP 가입 필요성 등을 역설했다. 또 AI, 문화콘텐츠 등 신산업 분야로 협력이 확대될 수 있도록 제도적 틀 마련을 촉구했다.

츠츠이 경단련 회장도 △규범 기반 자유무역 질서 강화 △WTO 개혁 △RCEP·CPTPP 심화 협력 △3국 협력 강화를 통해 인도·태평양 자유·개방 실현 필요성을 강조했다.

회의 참가자들은 미국 관세 조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등 지정학적 리스크 속 '초불확실성' 상황을 진단하며, AI·녹색전환·통상 대응을 중심으로 한 양국 경제정책의 공통성을 확인했다. 양국은 글로벌 보호주의 대응, 에너지 협력, 공급망 강화, 한·미·일 비즈니스 대화 등 실질적 협력 강화 방안에 합의했다.

특히 한국의 CPTPP 가입에 대해 일본 측 경제계도 찬성 의견을 공유했다. 글로벌 통상 불안정 속 한국 가입은 역내 공급망 안정과 첨단소재 협력에 실질적 이익을 제공한다고 평가했다.

한일 수소 협력과 관련해서는 △안전성 확보 △충전소·저장 설비 공동 실증 △운영자 및 기술자 공동 교육 △중복 투자 방지를 위한 공동 인프라 지도 구축 필요성이 논의됐다.

AI 분야에서는 △포용적 AI 기반 생태계 조성 △디지털 격차·재난 대응·인재 확보 협력 등 공동 대응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인적 교류 및 문화·콘텐츠 협력 방안도 논의됐다. △자동출입국 시스템 상호 개방 △유학에서 취업으로 연결되는 미래세대 교류 △OTT 기반 한일 공동 콘텐츠 제작 및 음악 합작 그룹의 제3국 진출 △OSMU 전략 적용 등을 통한 협력 강화가 제시됐다.

한경협과 경단련은 이번 회의 결과를 토대로 △규범 기반 자유무역 질서 유지 및 CPTPP 추진 △글로벌 통상환경 공동 대응 △한·미·일 협력 강화 △APEC·OECD 공조 확대 △수소 에너지·탄소저감 협력 △사회문제 공동 대응 △관광·청년·스타트업 교류 활성화 △신산업 분야 연계 강화 등을 담은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