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여의도 증권가 전경. [출처= EBN]](https://cdn.ebn.co.kr/news/photo/202510/1682511_700068_2655.jpg)
금융투자협회와 한국거래소가 최근 주가 상승세와 함께 신용융자 잔고가 빠르게 늘고 있는 상황에 대해 투자자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양 기관은 “신용융자를 통한 투자는 철저한 투자 판단과 위험 인식이 전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17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최근 국내 증시가 기업 지배구조 개선 기대감 등에 힘입어 연초 대비 코스피 지수는 52%, 코스닥 지수는 26% 상승했다. 이와 함께 신용융자 잔액도 지난해 말 15조8000억원에서 약 49% 증가한 23조원을 넘어섰다.
같은 기간 투자자예탁금은 57조1000억원에서 80조원으로, 코스피 시가총액은 1963조원에서 3012조원으로 확대되며 시장 자금 유입이 두드러졌다.
그러나 협회와 거래소는 “신용융자는 투자 규모를 키우는 만큼 손실 가능성도 급격히 커지는 고위험 투자 수단”이라며, 일부 투자자층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양 기관은 투자자 유의사항으로 △자신의 투자 성향과 자금 성격을 고려한 레버리지 사용 △시장 변동성 확대 국면에서의 신중한 접근 △풍문·테마주 중심의 추종매매 자제 등을 제시했다.
특히 최근 청년층과 50·60대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신용거래가 급증하고 있어 상환 능력을 초과한 과도한 차입투자를 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용융자는 담보비율이 하락하면 반대매매로 인해 보유 주식이 강제 청산될 수 있다. 주가가 반등하더라도 손실을 회복할 수 없는 구조가 될 수 있다. 또한 시장 변동성이 커질수록 높은 신용융자 잔고가 연쇄적인 주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
양 기관은 투자자뿐 아니라 증권사에도 리스크 관리 강화를 요청했다.
금투협은 현재 증권사들이 △신용융자 잔고 실시간 모니터링 △담보유지비율·보증금율 상향 △청년층·중장년층 등 취약계층 계좌관리 강화 등의 조치를 자율적으로 시행 중이라고 밝혔다.
한국거래소는 시장질서 교란행위에 대한 감시도 강화할 계획이다. 거래소는 이상급등주 발생 시 실시간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불공정거래 개연성이 있는 경우 신속히 조사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급등주 관련 조회공시를 적극 활용해 투자자 간 정보 불균형을 완화할 방침이다.
거래소 관계자는 “검증되지 않은 온라인 리딩방이나 게시판, 문자 등을 통해 퍼지는 풍문성 정보에 의존한 투자행위는 대규모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며, 불공정거래가 의심되는 경우 ‘시장감시위원회 불공정거래 신고센터’로 신고해줄 것을 요청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단기 급등장 속 과도한 신용거래가 시장 안정성을 훼손할 수 있다”며 “투자자는 신용융자 활용 전 손실 가능성을 명확히 인식하고, 증권사들도 투자자보호 중심의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