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사 맥클레인(공화당-미시간) 의원이 10월17일 워싱턴 D.C. 미국 국회의사당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마이크 존슨(공화당-루이지애나) 하원의장은 정부 셧다운 17일째를 맞아 다른 공화당 지도자들과 기자회견을 가졌다.[출처=연합뉴스]](https://cdn.ebn.co.kr/news/photo/202510/1682598_700169_4137.jpg)
미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로 무급휴직(furlough)에 들어간 근로자들의 실업수당 청구가 급증하고 있다.
1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주(州)별 실업보험 데이터 추출 결과 지난주 연방정부 근로자 7244명이 신규 실업수당을 신청했다.
이는 직전주 3272건에서 두 배 이상 늘어난 수치로 셧다운이 시작된 10월 1일 이전 주의 588건에 비해 12배 이상 증가했다. 이번 수치는 2019년 1월 종료된 34일간의 셧다운 이후 최고치다.
기존에 실업수당을 받고 있던 연방 근로자(계속 수급자)도 전주 8672명에서 9430명으로 늘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급증이 두 가지 요인에 기인한다고 분석한다. 정부 셧다운으로 임시 무급휴직 상태에 놓인 근로자들이 실업수당을 신청했기 때문이다. 트럼프 행정부 시절 도입된 '유예 사직(deferred resignation)' 제도에 참여했다가 최근 급여가 끊긴 근로자들도 청구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의 낸시 밴던 하우튼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근로자들이 결국 소급 임금을 받을 가능성을 알고 있더라도 당장 생계비를 감당하기 어려워 실업수당을 신청하는 경우가 많다"며 "셧다운이 길어질수록 청구 건수는 더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번 주 금요일 종료되는 2주 급여 주기는 휴직자들이 처음으로 전혀 급여를 받지 못하는 시점이다. 여기에 백악관이 2019년 제정된 자동 소급임금 지급법의 효력에 이의를 제기하면서 근로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하우튼은 "백페이(Back pay)가 확실치 않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더 많은 근로자가 실업수당을 청구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번 달부터 유예사직 프로그램에 참여한 15만4000명 중 약 3분의 2가 실제 퇴직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부분은 실업수당 자격이 없지만 일부 주에서는 특정 조건에 따라 지급이 가능하다. 뉴욕주 노동부는 "각 사례별로 전문가가 자격을 심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방 근로자들을 제외한 민간 부문의 신규 실업수당 청구는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버닝글래스연구소의 가이 버거 선임연구원은 "기업들이 채용을 크게 늘리거나 줄이지 않는 상황에서 전반적 노동시장 안정세가 유지되고 있다"며 "이번 실업수당 급증은 연방정부 부문에 집중된 일시적 현상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그는 "정부 부문에서의 실업수당 청구 급등은 노동시장 전반의 작은 경고 신호로 볼 수 있다"며 "셧다운이 길어질 경우 민간 부문에도 파급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