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의 10월 금리 인하는 사실상 확정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출처=연합뉴스]](https://cdn.ebn.co.kr/news/photo/202510/1682120_699628_4818.jpg)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이달 말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또 한 번 인하할 가능성이 커졌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최근 잇따른 발언을 통해 "노동시장 둔화가 인플레이션보다 더 큰 위험 요인"이라고 강조하며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재확인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최근 전미경제학회(NABE)와 필라델피아 경제학 콘퍼런스에서 잇따라 연설을 통해 "노동시장 수요와 공급이 모두 상당히 급격히 감소했다"며 경기 둔화 신호를 분명히 했다.
그는 "금리를 너무 빨리 내리면 인플레이션 억제 작업이 미완으로 끝날 수 있지만, 너무 늦게 인하하면 고용시장에 고통스러운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며 "지금은 사실상 리스크 없는 길이 없다"고 말했다.
지난 9월 연준은 0.25%포인트 금리를 인하했고, 당시 점도표에서 올해 두 차례 추가 인하 가능성을 제시했다. 시장은 10월 회의에서 또 한 번의 인하가 단행될 확률을 100%에 가깝게 반영하고 있다.
파월은 "최근 구인 건수가 계속 줄고 있으며, 이는 실업률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이전과 달리 노동시장이 점차 약화되는 국면"이라고 진단했다. 실제 미국의 8월 실업률은 4.3%로 상승했다.
연준은 물가 안정(2% 목표)과 최대 고용이라는 두 가지 목표 사이에서 균형점을 찾고 있다.
파월은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목표치를 웃돌고 있지만 상승 속도는 둔화됐다"며 "고용 쪽 리스크가 점점 커지고 있어 단기적으로는 경기 완화가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정부 셧다운으로 인해 10월부터 주요 경제 지표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며 "데이터 공백이 장기화될 경우 경기 진단과 정책 결정이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파월은 2022년 중반부터 진행해 온 연준의 대차대조표 축소(양적 긴축·QT) 프로그램도 곧 종료될 수 있다고 밝혔다.
연준은 팬데믹 당시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국채와 주택저당증권(MBS)을 대규모로 매입하며 자산을 9조 달러까지 확대했다가, 현재는 약 6.6조 달러 수준으로 축소한 상태다.
그는 "유동성이 충분하지 않다는 신호가 보이면 보유자산 축소를 멈출 것”이라며 “그 시점이 몇 달 내에 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는 2019년 단기자금시장 금리 급등 사태 재발을 피하기 위한 신중한 접근으로 해석된다.
파월은 최근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 등 일부 정치권과 차기 연준 의장 후보군이 제기한 연준 비판에 대해 "정책 결정은 철저히 경제 데이터에 기반해야 한다"며 간접적으로 반박했다.
또한 의회 일각에서 추진 중인 ‘은행지준에 대한 이자 지급 금지’ 법안에 대해선 강한 반대 입장을 밝혔다.
그는 "이 제도가 폐지되면 연준은 단기금리 통제력을 잃게 되고, 단기간에 대규모 국채나 MBS 매각이 불가피해질 것"이라며 "이는 금융시장 불안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시장과 전문가들은 이번 파월 발언을 두고 "10월 금리 인하는 사실상 확정적"이라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줄리아 코로나도 매크로폴리시 퍼스펙티브스 대표는 "노동시장 하방 위험이 연준의 결정에 핵심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으며, 컨퍼런스보드의 옐레나 슐랴티에바 수석 이코노미스트 역시 "고용 측 리스크가 연준을 움직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내년 금리 경로에 대해서는 연준 내부에서도 의견이 갈린다. 일부 위원은 추가 인하가 필요하다고 보는 반면, 인플레이션 불확실성을 이유로 동결을 주장하는 목소리도 크다.
결국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과 고용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며 "정책의 속도와 방향 모두에 유연성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