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익스프레스의 여아용 코스튬. [출처=알리익스프레스]
알리익스프레스의 여아용 코스튬. [출처=알리익스프레스]

핼러윈데이를 앞두고 온라인 직구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판매되는 어린이 코스튬 제품 9종이 국내 안전기준을 위반한 것으로 드러났다. 

일부 제품에서는 내분비계 교란물질인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와 발암물질인 납이 검출됐고, 다른 제품들은 불에 잘 타거나 삼킴 위험이 있는 부품을 포함하고 있었다.

24일 한국소비자원은 중국계 직구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에서 판매되는 어린이용 드레스·코스튬 17종(알리 10종, 테무 7종)의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전체의 절반 이상(52.9%)인 9종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문제의 제품들은 모두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판매된 것으로 확인됐다.

조사 결과 ‘아담스 패밀리 코스튬 세트’의 손 모양 장식에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62.4%, 가죽 벨트에서는 납 237㎎/㎏이 검출됐다. 이는 각각 국내 안전기준(0.1%, 100㎎/㎏)의 624배와 2.3배에 해당한다. 해당 세트의 치마는 화염전파속도가 37㎜/s로 기준치(30㎜/s)를 초과했으며, 어린이가 삼킬 수 있는 작은 부품이 포함돼 있었음에도 경고 표시가 없었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생식·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내분비계 교란물질이며, 납은 어린이의 지능 발달 저하나 근육 약화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팅커벨 드레스 세트의 머리띠에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19.8%, 어린이 경찰복 세트의 가죽장갑에서는 40.8%가 검출됐다.

또 보라색 공주 드레스와 엘사 드레스의 속치마는 각각 38㎜/s, 46㎜/s의 화염전파속도를 보여 불이 쉽게 번질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촛불이나 폭죽 등 불꽃이 닿을 경우 화상이나 화재 위험이 크다는 지적이다.

특히 36개월 미만용 제품의 경우 더욱 심각했다. 팅커벨 드레스에는 반지와 귀걸이 등 작은 부품 12개, 투투 가운에는 보석 4개가 포함돼 있었으나, 이 연령대 제품에는 작은 부품 자체가 금지돼 있다.

소비자원은 “알리익스프레스가 권고를 수용해 위해 제품 판매를 차단하고, 자체 검사 강화를 약속했다”고 밝혔다. 또 "직구 제품의 안전 인증 및 표시사항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