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사들이 금융위원회에 생산적 금융 추진 계획을 공유했다. 금융위원회는 금융지주사를 중심으로 산업 이해도 제고를 위한 조직을 마련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28일 금융위원회는 생산적 금융으로의 전환의 주체인 금융업권과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금융업권 생산적 금융 소통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의 주재로 KB·신한·하나·우리·농협·BNK·iM·JB·메리츠·한국투자 금융지주 및 미래에셋 증권, 키움 증권, 삼성화재, 한화생명, 교보생명의 생산적 금융 담당 임원 등이 참석했다.
권 부위원장은 이날 회의는 생산적 금융으로의 전환에 대한 정부와 금융업권의 공감대를 공유하고, 이를 위한 속도감 있는 실천, 실질·효과적인 추진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밝혔다.
또 정부가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생산적 금융을 핵심 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만큼, 성공적인 전환을 위해 금융업권이 필요한 것을 가감 없이 이야기해달라고 말했다.
권 부위원장은 "생산적 금융은 금융이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선도하는 본질적 역할을 회복해야 한다는 의미"라며 "금융시장의 자금이 부동산·담보에 편중된 기존의 방식으로는 금융권과 우리 경제의 성장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제는 금융업권이 스스로 미래 성장 동력을 키워내기 위한 적극적 역할에 나서야할 때"라며 "금융이 산업 혁신생태계에 동참하기 위해서는 금융계와 산업계간 협업과 소통이 중요하고, 금융권이 산업에 대한 선별·평가·관리 역량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금융지주사를 중심으로 산업 이해도 제고를 위한 조직을 마련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금융위도 지난 9월 19일 '생산적 금융 대전환 회의'에서 제시한 부동산에서 첨단·벤처·혁신기업, 예금·대출에서 자본시장 투자, 수도권에서 지방으로의 3대 전환과 이를 위한 3대 분야, 9대 과제 이행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권 부위원장은 "지금이 우리 금융 구조를 전환하고 재도약을 추진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일 수 있다"며 "금융사별로 생산적 금융 추진 계획을 마련·공유해 주신 만큼 금융위원회가 끝까지 책임지고 소통·점검해 우리 금융의 구조를 반드시 바꿔 나가겠다고 발언했다"
금융위는 11월부터 금융업권별 협회를 통해 운영 중인 규제 개선 TF를 통해 금융권 규제개선 사항 등 필요한 정책과제를 발굴해 나가고, 정부 차원에서 금융감독원·학계 등 전문가들과 규제합리화 노력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