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유통기업들, 경주선언 [출처=대한상의]
전세계 유통기업들, 경주선언 [출처=대한상의]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유통 리더들이 경주에 모여 인공지능(AI) 전환과 친환경, 글로벌 표준협력을 골자로 한 ‘경주선언(Gyeongju Declaration)’을 채택했다. AI 기술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 혁신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실천, 지속가능한 유통 생태계 구축에 뜻을 모았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8일 경주 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APEC 유통 퓨처테크포럼(Retail Future-Tech Forum)’을 열었다. 우리나라 롯데쇼핑·GS리테일·쿠팡·현대백화점을 비롯해 미국 아마존, 중국 징둥닷컴, 국제표준기구 GS1 등 아태 지역 주요 유통기업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경주선언을 공식 채택했다. 이번 포럼은 ‘AI 전환·친환경·표준협력’을 3대 핵심 축으로 하는 실천 의지를 담았다.

경주선언은 △유통산업 혁신을 통한 시민생활 향상과 경제 발전 선도 △혁신 비즈니스모델 공유 및 네트워킹 강화 △순환경제·녹색소비·탄소중립 실천 △국제 표준개발을 통한 글로벌 협력 △소비자와 유통업계의 상생 생태계 구축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았다.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APEC은 세계 GDP의 60%, 교역량의 50%를 차지하는 거대 경제권”이라며 “경주선언은 APEC CEO Summit의 비전인 ‘Business, Bridge, Beyond’를 구체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오승철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반실장은 “AI와 디지털 전환이 유통 경쟁력을 좌우하는 시대에 이번 포럼은 혁신 방향과 글로벌 협력의 토대를 함께 모색한 뜻깊은 자리”라고 평가했다.

정준호 롯데쇼핑 대표(대한상의 유통위원장)는 “이번 선언이 AI 도입과 디지털 전환 등 유통업계가 직면한 도전 과제들을 함께 풀어나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기조연설에 나선 데이비드 벨 전 펜실베이니아대 와튼스쿨 석좌교수는 “AI 시대의 승자는 데이터와 개인화, 맞춤화에 집중하는 기업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온라인 쇼핑이 대세이지만 소비는 여전히 ‘공간’에서 완성된다”며 “미래의 매장은 단순 판매처가 아니라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형 경험을 제공하는 ‘지능형 공간’으로 진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벨 박사는 이어 “기술보다 중요한 것은 데이터를 통해 소비자를 이해하는 감각”이라며 “AI는 고객 경험을 재정의하는 핵심 도구”라고 말했다.

2부 ‘글로벌 혁신 토론회’에서는 AI·글로벌화·ESG를 주제로 각국 대표 유통기업들의 혁신 사례가 발표됐다.

김호민 아마존 아태지역 부문장은 “AI는 효율을 넘어 경험을 재정의하는 기술”이라며 “AI 쇼핑을 경험한 소비자의 92%가 편의성과 만족도의 변화를 체감했다”고 밝혔다.

그는 “기술의 이해뿐 아니라 실험적 조직문화와 신뢰 기반 파트너십이 성공적 AI 도입의 핵심”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징둥닷컴의 공샹잉 부사장은 “징둥은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 중 44위로 1600개 국내 물류창고와 130개 해외 거점을 보유하며 공급망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며 “AI 마케팅·검색 기술로 개인화된 쇼핑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일본 와세다대 카와카미 교수는 “이온(AEON)은 AI를 활용한 시간 단위 배송 서비스와 전자영수증 시스템으로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유니클로는 수요 예측 기반 생산과 재활용 캠페인을 통해 지속가능한 유통을 실현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 사례도 소개됐다. 박지혜 한국외대 교수는 “롯데는 AI 추천 시스템과 매장 동선 분석을 통해 옴니채널 고객 경험을 고도화했고, 쿠팡은 로켓배송과 AI 물류 예측 시스템을 결합해 초단기 배송을 실현했다”며 “두 기업 모두 포장재 감축과 탄소 절감형 물류체계 구축 등 ESG 경영을 강화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국제표준기구 GS1의 르노 드 바르부아 CEO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 표준화가 산업 간 협력을 촉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경도 한국유통학회장은 “이번 포럼은 단순 산업행사를 넘어 글로벌 유통의 미래를 논의한 뜻깊은 자리로 AI·글로벌화·ESG는 한국 유통산업 발전의 핵심 키워드”라고 총평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APEC #유통 #리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