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CEO 서밋 AI 퓨처테크포럼이 28일 경북 경주시 경주엑스포대공원 문화센터에서 열렸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출처=연합]
APEC CEO 서밋 AI 퓨처테크포럼이 28일 경북 경주시 경주엑스포대공원 문화센터에서 열렸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출처=연합]

"대한민국이 인공지능(AI) 시대의 병목 현상을 풀어내는 글로벌 테스트베드가 될 것이라고 자신한다."

최태원 SK그룹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28일 경북 경주 예술의전당 문무홀에서 열린 '퓨처테크포럼:AI'에서 이같이 말했다. 

최 회장은 "AI 데이터센터를 많이 짓는 지금, 그 안에 들어가는 칩(반도체)부터 에너지까지 모두 병목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며 "이 문제를 한국이 풀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퓨처테크포럼은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의 부대행사로, AI 세션은 SK그룹이 주관했다.

최 회장은 최근 AI 패러다임이 논리적 사고를 수행하는 '리즈닝(Reasoning) AI'에서 스스로 사고하고 행동하는 '에이전틱(Agentic) AI'로 전환되고 있다고 봤다. 그는 "AI의 진화로 데이터센터 수요가 폭증하며 칩과 에너지 공급 모두에서 병목이 심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새롭고 빠르게 적응하는 속도를 바탕으로 병목을 해결할 것"이라며 "이는 인터넷과 모바일 시대에 이미 입증된 DNA로, AI 역시 한국에서 가장 빠르게 확산·진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AI 시대를 대비해 효율적이고 저비용의 AI 모델 개발과 데이터 애그리게이션(분산된 데이터를 하나로 모으는 기술)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최 회장은 "AI 생태계는 앞으로 매우 빠른 속도로 확장될 것"이라며 "한국이 다양한 분야에서 이 속도에 맞춰 접근하면 세계가 벤치마킹하는 테스트베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미국과 중국이 각각 자국 중심의 AI 전략을 강화하는 상황에서 한국은 새로운 해법을 찾아야 한다"며 "국가 간 기술 자립과 글로벌 확산의 균형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AI 시대에는 개인플레이보다 협동플레이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는 이어 "글로벌 플레이어와 협력이 필수이며, 아마존웹서비스(AWS)와의 울산 AI 데이터센터 건립, 오픈AI와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는 한국 AI 생태계를 넓히는 중요한 기폭제"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기술 자립과 신뢰 기반의 협력, 이 두 축이 병존하는 모델이 앞으로 많은 APEC 국가의 참고 모델이 될 것"이라며 "두 가지를 조화롭게 발전시키는 것이 한국과 전 세계의 과제"라고 덧붙였다.

이날 행사에는 하정우 대통령비서실 AI미래기획수석비서관, 맷 가먼 AWS CEO, 최수연 네이버 대표, 김경훈 오픈AI 코리아 총괄대표, 유영상 SK텔레콤 사장, 사이먼 밀너 메타 부사장 등 국내외 AI 업계 주요 인사들이 참석해 AI 생태계의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