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 [출처=EBN]
한국거래소. [출처=EBN]

한국거래소는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기업 549개사가 올해 기업지배구조보고서를 공시했다고 7일 밝혔다. 이 중 자산총액 5000억원 이상으로 보고서 공시가 의무인 기업은 541개사이며, 나머지 8개사는 자율적으로 보고서를 제출했다.

한국거래소는 지난 6~8월 사이 보고서의 가이드라인 준수 여부와 기재 오류 등을 점검했고, 오류가 확인된 31개 기업에 대해 9월 중 정정 신고를 요구했다. 모든 기업은 기한 내 정정 절차를 마쳤다.

이번 보고서 분석 결과, 기업의 ‘13개 핵심지표’ 평균 준수율은 55.3%로 전년 대비 4.1%p 상승했다. 이 지표에는 전자투표 실시, 집중투표제 채택, 주주총회 집중일 회피 개최, 배당정책 통지 등 주주권 보호와 감사제도 관련 항목이 포함된다.

자산 규모에 따라 준수율 차이는 여전히 컸다. 자산 2조원 이상 기업의 준수율은 67.1%에 달한 반면, 자산 5000억~1조원 규모 기업의 준수율은 38.6%에 그쳐 28.5%p의 격차를 보였다. 특히 △내부 감사기구와 외부감사인의 분기별 소통 △이사회 내 성별 다양성 확보 △배당정책 정기 통지 항목에서 차이가 두드러졌다.

지표별로는 ‘경영정보 접근 절차 마련’(98.6%)과 ‘내부 감사기구 내 회계·재무 전문가 존재’(87.9%) 등 감사제도 관련 항목은 높은 준수율을 보였지만, ‘독립된 내부감사부서 설치’(48.0%)와 ‘외부감사인과의 정기 회의’(62.6%) 등은 여전히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주권 보호 측면에서는 주주총회 소집공고일과 실제 개최일 사이 기간이 평균 21.9일로, 전년(20.6일)보다 1.3일 늘어나며 점차 검토기간이 확대되는 추세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2026년부터는 모든 코스피 상장기업이 기업지배구조보고서 공시 의무 대상에 포함된다”며 “상장기업의 원활한 공시 작성을 위해 안내자료 배포, 1:1 컨설팅,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