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플라즈마코어 노현호 법인장(오른쪽)과 다난타라 최고투자책임자 판두 자흐리르 (왼쪽)가 인도네시아 현지에서 열린 혈액제제 생산 인프라 투자를 위한 MOU를 체결식에서 서명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출처=SK플라즈마]
SK플라즈마코어 노현호 법인장(오른쪽)과 다난타라 최고투자책임자 판두 자흐리르 (왼쪽)가 인도네시아 현지에서 열린 혈액제제 생산 인프라 투자를 위한 MOU를 체결식에서 서명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출처=SK플라즈마]

SK플라즈마가 인도네시아 신규 국부펀드 ‘다난타라 인도네시아’와 혈액제제 생산 인프라 투자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SK플라즈마는 다난타라 인도네시아와 인도네시아 혈액제제 설비 투자를 위한 협력에 합의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MOU는 지난해 국내 기업 최초로 인도네시아투자청(INA)과 투자 계약을 맺은 데 이은 두 번째 국부펀드 협력 사례다.

양사는 SK플라즈마의 현지 합작법인 ‘SK플라즈마 코어 인도네시아’(이하 SK플라즈마코어)에 대한 투자 방향성과 절차를 구체화할 예정이다. SK플라즈마코어는 인도네시아 혈액제제 생산 설비 구축을 위해 설립된 합작법인으로, SK플라즈마가 1대 주주, INA가 2대 주주로 참여 중이다.

다난타라는 올 초 인도네시아 정부가 INA에 이어 두 번째로 조성한 국부펀드로, 광물·신재생에너지와 함께 헬스케어를 8대 핵심 투자 영역으로 지정했다. 다난타라는 혈장 유래 의약품의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필수 의약품 자급력을 확보하기 위해 MOU를 체결했으며, 혈액제 사업 투자를 시작으로 필수 의료 인프라 전반으로 협력을 넓혀가겠다는 방침이다.

판두 자흐리르 다난타라 최고투자책임자(CIO)는 “필수 의료 서비스의 수입 의존을 줄여 안정적 보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핵심 전략”이라며 “이번 MOU는 SK플라즈마의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세계적 수준의 보건 인프라를 확보해 가는 중요한 기점”이라고 말했다.

SK플라즈마는 INA를 비롯한 기존 주주와 다난타라 등 국부펀드와의 협력을 통해 인도네시아 혈액제제 프로젝트를 차질 없이 완수한다는 계획이다.

김승주 SK플라즈마 대표는 “카라왕 생산 설비는 의약품 공장을 넘어 인도네시아 국민 건강과 필수의약품 주권에 직결되는 국가적 사업”이라며 “현지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고품질 혈액제제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SK플라즈마는 인도네시아 보건부로부터 혈액제제 사업권을 확보하고 SK플라즈마코어를 통해 카라왕 산업단지 내 공장 건설을 추진 중이다. 신규 공장은 대지면적 약 4만9000㎡ 규모로 연간 60만 리터 혈장을 분획해 알부민, 면역글로불린(IVIG) 등 혈액제제를 생산할 계획이며, 2026년 4분기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