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생성이미지. [출처=오픈AI]](https://cdn.ebn.co.kr/news/photo/202511/1685989_703954_515.jpg)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제약업계도 수험생을 겨냥한 마케팅에 열을 올리고 있다. 단순한 피로회복제·비타민 판매에 그치지 않고 올해는 집중력·면역력·혈당관리 등 세분화된 건강 니즈를 반영한 ‘건강형 수험생 마케팅’이 핵심 전략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학생들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새로운 카테고리로 확대되고 있다. 학습 집중력과 컨디션 관리에 도움을 주는 간편 제품이 늘어나면서 청소년뿐 아니라 대학생·직장인까지 주요 소비층으로 편입되고 있다.
대웅제약은 이 시장을 가장 적극적으로 공략하고 있다. 대웅제약은 집중력 케어 젤리 ‘에너씨슬 집중샷’의 샤인머스캣맛을 새롭게 출시하며 제품 라인업을 확장했다. 지난해 상반기 출시된 에너씨슬 집중샷은 8월 말 기준 누적 350만포 판매를 기록, 수험생들 사이에서 인기 간식으로 떠올랐다.
대웅제약은 여기에 ‘임팩타임 A+ 스틱젤리’를 추가하며 고카페인 음료의 대체 시장까지 겨냥했다. 식물성 천연 카페인과 녹차 유래 아미노산 L-테아닌을 2대1 비율로 조합해 각성 효과는 유지하면서도 긴장감은 줄이는 방식이다.
동아제약과 광동제약은 수능 시즌을 맞아 ‘응원 선물’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동아제약은 비타민C 브랜드 ‘비타그란’을 리뉴얼한 ‘비타그란 3종 기프트세트’를 선보였다.
젊은 감각의 패키지 디자인과 ‘베리맛’ 신제품으로 차별화를 시도했으며 포장에는 “뭘 원할지 몰라서 다~ 준비했어”라는 문구를 넣어 수험생에게 응원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광동제약은 고함량 멀티비타민 음료 ‘비타500 수퍼멀티앰플샷’을 출시하고 카카오톡 선물하기 채널을 통해 판매를 강화했다. 비타민C 1000mg을 비롯해 비타민A·B군·D·아연 등 10종의 비타민·미네랄을 함유해 ‘하루 한 병으로 영양 밸런스 완성’을 내세웠다.
휴온스는 단순 판촉을 넘어 ‘사회적 가치 마케팅(SRM)’에 초점을 맞췄다. 휴온스는 수능을 앞둔 1형 당뇨병 수험생을 위해 연속혈당측정기(CGM) ‘덱스콤 G7’ 리시버 무상 대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해당 제품은 피부에 부착한 센서를 통해 세포 간질액의 포도당 농도를 실시간 측정하는 기기다.
수능 시험장에서 전자기기 반입이 제한되면서 스마트폰 기반 혈당 모니터링이 불가능했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다. 현재 국내에서 리시버 사용이 가능한 CGM은 덱스콤 G7이 유일하다.
수험생들의 건강식품에 대한 인기가 높아질 수록 온라인상에서는 ‘기억력 향상’, ‘집중력 강화’ 등을 내세운 불법 의약품 판매 광고가 성행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치료제 ‘메틸페니데이트’를 ‘집중력을 올려주는 약’으로 속여 판매·나눔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메틸페니데이트 제품은 마약류 성분의 전문의약품으로 소비자는 반드시 의사의 처방을 받아 복용하고 오남용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젊은세대는 단순 보충제보다 즉각적이고 간편한 형태의 건강관리 솔루션을 선호한다”며 “수험생들의 시험 전·후, 장시간 학습, 당일 체력 유지 등 세부적으로 파악해 집중력·면역·혈당 등 맞춤형 기능을 결합한 제품을 선보고 있다”라고 말했다.
- 중국, 암 치료약 임상시험 세계 1위…2년 연속 미국 추월
- 화이자, 14조원에 멧세라 인수…노보노디스크와 비만약 전쟁서 승리
- 한미약품, AI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국책과제 연구기관 선정
- SK플라즈마, 인니 국부펀드 ‘다난타라’와 MOU…혈액제제 인프라 투자 본격화
- 종근당, 美 학회서 ADC·비만·면항암 3대 파이프라인 성과 공개
- 한미약품, 美 학회서 ‘근육↑·지방↓’ 신개념 비만치료제 성과 공개
- 휴온스, 3분기 영업익 99억…주사제 수출 회복·CMO 성장 견인
- 파로스아이바이오, AML 치료제 후보 물질 INN ‘라스모티닙’ WHO에 등재
- 한국유씨비제약, 에드워드 리 신임 대표이사 선임
- 광동제약, 경영총괄 사장에 박상영 부사장 승진…신성장동력 확보
- 대웅제약, K-AI 국책과제 연구기관 선정…역이행 연구 설계 모델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