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약국 체인 궈다야오팡 [출처=연합뉴스]
중국 약국 체인 궈다야오팡 [출처=연합뉴스]

중국 제약업체들이 2년 연속 암 치료약 임상시험 건수에서 미국을 앞서며 세계 1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주도의 글로벌 제약 산업 지형에 중국이 빠르게 부상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9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미국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IQVIA)를 인용해, 2023년 중국 제약사들이 수행한 암 분야 임상시험 건수가 총 896건으로 전 세계의 39%를 차지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같은 해 미국(약 32%)과 유럽(약 20%)을 크게 앞서는 수치다.

중국의 임상시험 점유율은 지난 2009년까지만 해도 2%에 불과했으나, 2023년 처음으로 미국(약 34%)을 추월하며 빠른 성장세를 보여줬다. 이 같은 추세는 2024년에도 이어지고 있으며, 중국의 글로벌 의료산업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닛케이는 “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연구개발(R&D) 지원이 제약 산업 성장의 배경”이라며 “중국 제약사와의 협업을 확대하는 해외 기업도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올해 상반기 동안 중국 제약사와 글로벌 제약사 간 체결된 제휴 계약은 총 61건에 달하며, 계약 규모는 485억달러(70조7000억원)로 지난해 연간 규모(448억달러)를 넘어섰다. 일본 다케다약품공업은 지난해 중국 업체와 항암제 라이선스 계약을 맺었고, 올해 10월에는 중국 바이오 기업으로부터 12억달러(약 1조7000억원) 규모의 항암제를 취득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다만 현재까지는 중국 기업들이 개발한 의약품 대부분이 중국 내 시장에 국한돼 있으며, 글로벌 제약사 순위권에는 이름을 올리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닛케이는 “중국산 의약품이 머지않아 세계시장에서 본격적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키워드
#암 #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