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CI [출처=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CI [출처=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자동차 업계가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을 달성하려면 하이브리드와 같은 친환경 파워트레인(동력 전달 방식) 병행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이와 함께 무공해차 수요 창출을 위한 강력한 인센티브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11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2035 NDC에 대한 자동차산업계 입장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업계는 정부에서 확정 발표한 NDC가 그간 업계가 제기했던 급격한 전환으로 인한 문제점이 명확히 해소되지 않은 채 목표가 설정된 점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이에 업계는 정부가 향후 이행과정에서 급격한 전환으로 인한 산업계 충격을 최소화하고 시장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규제 일변도의 정책이 아닌 과감한 수요창출 정책으로 목표 달성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급격한 전환에 따른 부품업계와 고용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전환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했다.

구체적으로 수송부문 감축량 목표는 유지하되, 수송부문 내 감축수단 다양화와 감축수단별 감축비중 조정을 통해 자동차산업 생태계 부담 완화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에 따라 이행과정에서 무공해차 비중은 시장 상황에 따라 현실화하고, 부족한 감축량은 교통·물류 부문 감축수단을 통해 확대 추진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한, 하이브리드차, 탄소중립 연료 등 다양한 파워트레인을 병행해 감축을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한, 과감한 인센티브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무공해차 대당 보조금 확대, 충전요금 할인특례 한시적 부활, 고속도로통행료 50% 할인 유지, 버스전용차선 일부 허용 등 과감한 인센티브 정책으로 무공해차 수요를 창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부품업계에 대한 지원도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부품산업 생태계 및 노동자의 중·장기 전환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무공해차 생산 세액공제 등을 통해 국내 생산기반을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KAMA는 "글로벌 기후위기에 적극 대응하고 자동차산업 경쟁력 유지를 위해 투자를 확대하는 등 무공해차 보급목표 달성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ND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