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13일 오전 전국 85개 시험지구 1310개 시험장에서 일제히 시행된다. [출처=연합]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13일 오전 전국 85개 시험지구 1310개 시험장에서 일제히 시행된다. [출처=연합]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13일 오전 전국 85개 시험지구 1310개 시험장에서 일제히 시행된다. 응시생은 오전 8시 10분까지 지정된 시험실에 입실해야 하며, 시험은 오전 8시 40분부터 오후 5시 45분까지 진행된다.

올해 수능은 지난해와 동일하게 문·이과 통합형 체제를 유지한다. 국어와 수학 영역 모두 ‘공통과목+선택과목’ 구조가 적용되며, 국어는 공통과목인 독서·문학 외에 ‘화법과 작문’ 또는 ‘언어와 매체’ 중 하나를, 수학은 공통과목인 수학Ⅰ·Ⅱ와 함께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가운데 한 과목을 선택해 응시한다.

한국사는 필수 과목으로 지정돼 모든 수험생이 반드시 응시해야 하며, 미응시자는 성적통지표가 발급되지 않는다.

사회·과학탐구 영역에서는 계열 구분 없이 17개 과목 중 최대 2개를 선택할 수 있고, 직업탐구 영역은 6개 과목 중 최대 2개 응시가 가능하다. 단, 직업탐구에서 두 과목을 선택하는 경우 ‘성공적인 직업생활’ 과목은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9개 과목 중 1개를 택할 수 있으며, 영어·한국사·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절대평가로 성적이 등급만 표기된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초고난도 ‘킬러문항’을 배제하고 고등학교 교육과정 수준에 맞춰 출제하겠다는 방침을 유지한다. 지난해 수능은 킬러문항을 제외하면서도 영역별 변별력을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올해는 주요 대학 자연계 학과들이 사회탐구 과목을 수능 최저학력 기준으로 인정하면서 이공계열 수험생들이 과학탐구 대신 사회탐구 과목을 택하는 ‘사탐런’ 현상이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수능 지원자는 총 55만4174명으로, 전년 대비 3만1504명(6.0%) 증가했다. 이는 2019학년도 이후 7년 만에 가장 많은 규모다. 재학생은 37만1897명(67.1%)으로 전년보다 3만1120명 늘었으며, 이는 출산율이 높았던 2007년생 ‘황금돼지띠’가 고3에 진입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졸업생은 15만9922명(28.9%)으로 1800여명 감소했다.

한편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은 지난해 증원 이전 수준인 3016명으로 축소되면서 최상위권 수험생들의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 입시 전문가들은 응시자 증가와 의대 정원 축소로 인해 상위권 변별력 강화를 위한 까다로운 문항이 일부 출제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수능 성적통지표는 오는 12월 5일 수험생에게 일제히 배부된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