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14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기자회견장에서 한미 팩트시트 타결과 관련해 발표하는 모습 [사진출처=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11/1686790_704904_4923.jpg)
대한민국(ROK) 이재명 대통령은 미국(United States 또는 U.S.)의 도널드 J. 트럼프 대통령을 맞이하여 10월 29일 대한민국 국빈 방문을 환영했습니다. 이는 한국 역사상 최초로 경주에서 국빈 방문을 주최한 것이며, 두 정상이 8월 25일 워싱턴에서 첫 회담을 가진 데 이은 것입니다. 특히, 이는 대한민국이 동일한 지도자를 두 번째로 국빈 방문으로 맞이하는 것 또한 처음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역사적인 2024년 승리와 이재명 대통령의 당선이 대한민국의 민주적 강점과 회복력을 입증한 것을 고려하여, 양 정상은 한반도와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 안보, 번영의 핵심 축인 한미 동맹의 새로운 장을 선언했습니다.
■핵심 산업 재건 및 확대
트럼프 대통령과 이 대통령은 한미 동맹의 강점과 지속력을 반영하는, 7월에 있었던 '한미 전략적 무역 및 투자 협정(The Korea Strategic Trade and Investment deal)'의 역사적인 발표를 재확인했습니다.
양국 정상은 조선, 에너지, 반도체, 의약품, 핵심 광물, 인공지능/양자 컴퓨팅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의 투자가 경제 및 국가 안보 이익을 증진하는 것을 환영합니다.
이 협정에는 미국이 승인한 조선 부문에 대한 한국의 1,500억 달러 투자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승인된 투자(Approved Investments)'로 불립니다.
또한, 이 협정에는 전략적 투자에 관한 양해각서(MOU)에 따라 추가적으로 약속된 2,000억 달러의 한국 투자가 포함되며, 이는 미국과 대한민국 대표자들이 서명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은 2025년 4월 2일자 행정명령 14257호(개정 포함)에 따른 상호 관세 목적을 위해, 대한민국 원산지 물품에 대해 한미 자유 무역 협정(KORUS FTA) 또는 미국 최혜국(MFN) 관세율 중 더 높은 비율 또는 15퍼센트의 관세율을 적용할 것입니다.
미국은 자동차, 자동차 부품, 목재, 제재목 및 목재 파생품에 대한 대한민국의 섹션 232(Section 232) 부문별 관세를 15퍼센트로 인하할 것입니다. 이러한 대한민국 제품 중 KORUS FTA 또는 MFN 관세율(해당되는 경우)이 15퍼센트와 같거나 그 이상인 경우에는 추가적인 섹션 232 관세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대한민국 제품 중 KORUS FTA 또는 MFN 관세율(해당되는 경우)이 15퍼센트 미만인 경우에는 KORUS FTA 또는 MFN 관세와 추가적인 섹션 232 관세의 합이 15퍼센트가 될 것입니다.
의약품에 부과되는 모든 섹션 232 관세에 대해, 미국은 대한민국 원산지 물품에 15퍼센트를 초과하지 않는 섹션 232 관세율을 적용할 의향이 있습니다.
반도체(반도체 제조 장비 포함)에 부과되는 모든 섹션 232 관세에 대해, 미국은 대한민국과의 섹션 232 관세에 대해 (미국이 결정하는 바에 따라) 한국의 반도체 무역 규모만큼 크거나 그 이상을 포괄하는 향후 합의에서 제공될 수 있는 조건보다 불리하지 않은 조건을 제공할 의향이 있습니다.
미국은 특정 제품(예: 제네릭 의약품, 제네릭 의약품 원료, 제네릭 의약품 화학 전구체, 미국 내에서 구할 수 없는 특정 천연자원)에 대해 수정된 2025년 4월 2일자 행정명령 14257호에 따라 부과된 추가 관세 중 '제휴 파트너를 위한 잠재적 관세 조정 목록(Potential Tariff Adjustments for Aligned Partners)'에 명시된 특정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제거할 의향이 있습니다. 또한 미국은 수정된 행정명령 14257호, 수정된 포고문 9704호, 수정된 포고문 9705호, 포고문 10962호에 따라 부과된 관세에서 대한민국산 특정 항공기 및 부품에 대한 관세를 제거할 것입니다.
■외환 시장 안정
미국과 대한민국은 각자의 MOU 포함 약속과 관련하여, MOU가 대한민국 외환 시장 안정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에 대해 철저히 논의했습니다. 양국은 MOU상의 약속이 시장 불안정을 야기해서는 안 된다는 상호 이해에 도달했습니다.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서, 양국은 대한민국이 어떤 역년에도 총액 200억 달러를 초과하는 미국 달러를 조달하도록 요구받지 않을 것에 동의합니다. 대한민국은 시장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시장 매입 이외의 수단을 통해 미국 달러를 조달하기 위해 가능한 한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입니다. MOU 약속 이행이 한국 원화의 무질서한 움직임과 같은 시장 불안정을 야기할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한민국은 자금 조달 금액 및 시기 조정을 요청할 수 있으며, 미국은 이러한 요청을 성실하게 고려할 것입니다.
■상업적 관계 강화
양국 정상은 강력한 양자 경제 파트너십에 대한 민간 부문의 신뢰를 반영하는, 전략적 분야에서의 일련의 상업적 약속을 환영했습니다.
양국 정상은 한국 기업들이 트럼프 대통령 임기 동안 미국에 총 1,500억 달러의 외국인 직접 투자를 하겠다고 8월에 발표한 것을 환영했습니다. 양국은 이러한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입니다.
양국 정상은 대한항공(KAL)이 8월에 GE 에어로스페이스 엔진을 장착한 보잉 항공기 103대에 대한 구매 주문을 발표한 것을 환영했습니다. 보잉과의 약속은 360억 달러 규모로, 보잉 737 MAX 제트기, 787 드림라이너, 777X 여객기 및 화물기를 혼합하여 포함하며, 이로써 KAL의 2025년 총 주문량은 150대 이상의 보잉 항공기가 될 것입니다.
미국과 대한민국은 '서울에서 미국 제품 구매(Buy America in Seoul)' 이니셔티브를 환영하며, 이는 대한민국이 주 정부와 협력하여 미국 기업(중소기업 포함)을 위한 연례 전시회를 조직하여 한국으로의 미국 제품 수출을 촉진하는 것입니다.
■상호 무역 증진
양국 정상은 최근 발표된 협정이 상호 유익한 무역 및 투자를 증대하기 위한 공동 목표를 반영한다는 점을 인정했습니다. 이러한 협정의 정신에 따라, 미국과 대한민국은 비관세 장벽을 해결하고, 연말 이전에 KORUS 공동위원회에서 채택될 상호 무역 증진을 위한 약속과 실행 계획을 문서화할 것입니다. 이는 다음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대한민국은 추가적인 수정 없이 한국에 들어올 수 있는 미국 원산지 연방 자동차 안전 기준(FMVSS) 준수 차량에 대한 50,000대 상한선을 제거할 것입니다. 대한민국은 또한 미국 인증 당국에 제출된 서류 외에 배출가스 인증 절차에서 추가 문서를 요구하지 않음으로써 미국 자동차 수출에 대한 규제 부담을 줄일 것입니다.
대한민국은 다음을 포함하여 식량 및 농산물 무역에 영향을 미치는 비관세 장벽을 해결하기 위해 미국과 협력할 것입니다: 양자 협정 및 의정서에 따른 기존 약속이 이행되도록 보장, 농업 생명공학 제품에 대한 규제 승인 절차 간소화 및 밀린 미국 신청 건 해결, 미국 원예 제품 요청을 전담하는 미국 전용 창구(U.S. Desk) 설립, 특정 용어를 사용하는 미국산 육류 및 치즈에 대한 시장 접근 유지.
미국과 대한민국은 네트워크 사용료 및 온라인 플랫폼 규제를 포함한 디지털 서비스에 관한 법률 및 정책 측면에서 미국 기업이 차별받지 않고 불필요한 장벽에 직면하지 않도록 보장하고, 위치, 재보험, 개인 데이터를 포함한 국경 간 데이터 전송을 촉진하기로 약속합니다. 또한, 미국과 대한민국은 세계 무역 기구(WTO)에서 전자 전송에 대한 관세의 영구적 유예를 지지할 것입니다.
대한민국은 변호사-의뢰인 특권의 인정을 포함하여 경쟁 절차에서 추가적인 절차적 공정성 조항을 제공할 것을 약속합니다.
미국과 대한민국은 지식 재산권 보호를 위해 협력할 것입니다. 대한민국은 특허법 조약(Patent Law Treaty)에 가입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계속 취할 것입니다.
미국과 대한민국은 국제적으로 인정된 노동권의 강력한 보호를 보장하기 위해 협력할 것을 약속합니다. 미국과 대한민국은 강제 노동으로 만들어진 상품의 수입을 근절하는 것을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모든 형태의 강제 노동에 맞서 싸우기 위해 협력할 것입니다.
미국과 대한민국은 환경 보호의 차이가 무역 및 투자를 왜곡하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의 중요성을 재확인합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은 WTO 수산 보조금 협정을 완전히 이행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호 무역을 촉진하기 위해 자국의 환경법을 효과적으로 집행할 것입니다.
■경제 번영 보호
양국 정상은 경쟁력을 보존하고 안전한 공급망을 유지하기 위해 경제 및 국가 안보 조율을 강화할 필요성을 인정했습니다. 여기에는 관세 회피 방지 협력, 불공정하고 비시장적인 정책 및 관행을 다루기 위한 상호 보완적 조치, 인바운드 투자 및 아웃바운드 투자 규정 강화가 포함되며, 양국은 국제 조달 의무가 동일한 약속을 한 국가에 이익을 제공하도록 보장할 것입니다.
■한미 동맹 현대화
미국은 주한 미군(USFK)의 지속적인 주둔을 통해 대한민국 방위에 대한 약속을 강조했습니다.
미국은 핵 능력을 포함한 모든 범위의 역량을 활용하여 확장 억지력을 제공하겠다는 약속을 재확인했습니다. 양국 정상은 핵 협의 그룹(Nuclear Consultative Group)을 포함한 협의 메커니즘을 통해 협력을 강화하기로 약속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한민국 법적 요건에 따라 국방비를 가능한 한 빨리 GDP의 3.5%로 증액하겠다는 대한민국의 계획을 공유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환영했습니다.
대한민국은 또한 2030년까지 250억 달러를 미국 군사 장비 구매에 지출할 것을 약속했으며, 대한민국 법적 요건에 따라 330억 달러에 달하는 주한 미군에 대한 포괄적 지원을 제공할 계획을 공유했습니다.
양국 정상은 전시 작전 통제권 전환을 위한 동맹 협력을 계속하기로 약속했습니다. 미국의 지원을 받아 대한민국은 북한(DPRK)에 대한 연합 재래식 방어를 이끌기 위해 필요한 군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가속화할 것을 다짐했습니다. 여기에는 첨단 미국 무기 시스템의 획득과 첨단 무기 시스템을 포함한 양자 방위 산업 협력의 확대가 포함됩니다.
미국과 대한민국은 북한을 포함하여 동맹에 대한 모든 지역적 위협에 대한 미국의 재래식 억지 태세를 강화할 것입니다. 양측은 2006년 이후 관련 이해사항을 재확인합니다. 양측은 긴밀한 협의를 지속하고 이행 진행 상황을 지도부에 보고할 것입니다.
미국과 대한민국은 사이버 공간 및 우주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할 것을 다짐했습니다. 양국 정상은 또한 군사 영역에서 AI에 대해 계속 협력할 의사를 재확인했습니다.
■한반도 및 역내 문제 조정
양국 정상은 한반도와 인도-태평양 지역 모두에서 평화, 안보, 번영에 전념했습니다.
양국 정상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와 한반도의 평화 및 안정에 대한 약속을 재차 강조했으며, 2018년 북미 싱가포르 정상회담 공동성명 이행을 위해 협력할 것을 다짐했습니다.
양국 정상은 북한 정책에 대해 긴밀히 조율하기로 합의하고, 북한에 의미 있는 대화로 복귀하고 대량 살상 무기(WMD) 및 탄도 미사일 프로그램 포기를 포함한 국제적 의무를 준수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양국 정상은 일본과의 3자 파트너십을 강화하기로 약속했습니다.
양국 정상은 항행 및 상공 비행의 자유와 기타 합법적인 해양 사용을 수호하기 위한 노력을 재확인했습니다. 이들은 모든 국가의 해양 주장이 국제 해양법을 준수해야 한다는 점을 재확인했습니다.
이들은 대만 해협 전반의 평화와 안정 보존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들은 교차 해협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장려하고 현상 유지를 일방적으로 변경하는 것에 반대했습니다.
■해양 및 원자력 파트너십 심화
미국은 미국 조선소 및 미국의 인력에 대한 투자를 포함하여, 미국 조선 산업의 역량을 현대화하고 확대하는 데 기여하겠다는 대한민국의 약속을 환영했습니다. 대한민국은 대한민국의 민간 및 해군 원자력 프로그램에 대한 미국의 지원을 환영했습니다.
양국은 유지보수, 수리 및 정비(MRO), 인력 개발, 조선소 현대화, 공급망 회복력을 포함하여 조선 실무 그룹을 통해 추가적으로 협력하기로 약속했습니다.
이러한 이니셔티브는 대한민국에서의 미국 선박 건조 가능성을 포함하여 미국 상선 및 전투 준비 태세를 갖춘 미군 함정의 수를 가능한 한 빨리 늘릴 것입니다.
양자 123 협정과 일치하고 미국 법적 요건에 따라, 미국은 대한민국의 평화적 목적을 위한 민간 우라늄 농축 및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로 이어질 과정을 지지합니다.
미국은 대한민국이 원자력 추진 공격 잠수함을 건조하는 것을 승인했습니다. 미국은 이 조선 프로젝트를 위한 요구 사항(연료 조달 방안 포함)을 진전시키기 위해 대한민국과 긴밀히 협력할 것입니다.
Joint Fact Sheet on President Donald J. Trump’s Meeting with President Lee Jae Myung
President Lee Jae Myung of the Republic of Korea (ROK) welcomed President Donald J. Trump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nited States or U.S.) for a State Visit to ROK on October 29. This marks the first time in Korean history that a State Visit has been hosted in Gyeongju and follows on the two leaders’ first meeting in Washington on August 25. Notably, it is also the first time that the ROK has welcomed the same leader for a second state visit.
In light of President Trump’s historic 2024 victory and President Lee’s election demonstrating the ROK’s democratic strength and resilience, they declared a new chapter in the U.S.-ROK Alliance, the linchpin for peace, security and prosperit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the Indo-Pacific region
■REBUILDING AND EXPANDING CRITICAL INDUSTRIES
President Trump and President Lee reaffirmed the historic announcement in July of The Korea Strategic Trade and Investment deal, which reflects the strength and endurance of the U.S.-ROK Alliance.
Both leaders welcome Korean investments in various sectors to advance economic and national security interest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shipbuilding, energy, semiconductors, pharmaceuticals, critical minerals, and artificial intelligence/quantum computing.
This deal includes $150 billion of Korean investment in the shipbuilding sector approved by the United States, which is referred to as the Approved Investments.
This deal also includes $200 billion of additional Korean investment committed pursuant to the Memorandum of Understanding with respect to Strategic Investments (MOU), which is expected to be signed by representatives of the United States and ROK.
The United States will apply the higher of either the U.S.-Korea Free Trade Agreement (“KORUS FTA”) or U.S. Most Favored Nation (“MFN”) tariff rate, as applicable, or a tariff rate of 15 percent on originating goods of the ROK, for purposes of the reciprocal tariff provided under Executive Order 14257 of April 2, 2025, as amended.
The United States will reduce its Section 232 sectoral tariffs on automobiles, auto parts, timber, lumber, and wood derivatives of the ROK to 15 percent. For such products of the ROK with a KORUS FTA or MFN tariff rate, as applicable, equal to or greater than 15 percent, no additional Section 232 tariff shall apply. For such products of the ROK with a KORUS FTA or MFN tariff, as applicable, less than 15 percent, the sum of the KORUS FTA or MFN tariff and the additional Section 232 tariff shall be 15 percent.
For any Section 232 tariffs imposed on pharmaceuticals, the United States intends to apply to originating goods of the ROK a Section 232 tariff rate no greater than 15 percent.
For any Section 232 tariffs imposed on semiconductors (including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the United States intends to provide terms for such Section 232 tariffs on Korea that are no less favorable than terms that may be offered in a future agreement covering a volume of semiconductor trade at least as large as Korea’s, as determined by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States intends to remove supplemental tariffs imposed pursuant to Executive Order 14257 of April 2, 2025, as amended for certain products identified on the list of Potential Tariff Adjustments for Aligned Partners, such as generic pharmaceuticals, generic pharmaceutical ingredients, generic pharmaceutical chemical precursors, and certain natural resources unavailable i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States will also remove tariffs on certain aircraft and parts of the ROK from the tariffs imposed pursuant to Executive Order 14257, as amended, by Proclamation 9704, as amended, Proclamation 9705, as amended, and Proclamation 10962.
■FOREIGN EXCHANGE MARKET STABILITY
The United States and the ROK, in connection with their respective commitments included in the MOU, have thoroughly discussed the potential impact of the MOU on the foreign exchange market stability of the ROK. They have reached a mutual understanding that commitments in the MOU shall not be allowed to give rise to market instability. As trusted partners, the two nations agree that the ROK shall not be required to fund an aggregate amount of U.S. dollars greater than $20 billion in any calendar year. The ROK will use its best efforts, to the greatest extent possible, to source the U.S. dollars through means other than market purchases so as to minimize any potential impact on the market. Should it appear that the fulfillment of the commitments in the MOU may cause market instability, such as disorderly movements of Korean won, the ROK may request an adjustment in the amount and timing of the funding, and the United States will, in good faith, give due consideration to such request.
■ENHANCING COMMERCIAL TIES
The two leaders welcomed a series of commercial commitments in strategic sectors, reflecting the confidence of the private sector in the strong bilateral economic partnership.
The two leaders welcomed the announcement in August by ROK companie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s in the United States totaling $150 billion during President Trump’s term. Both countries will use their best efforts to facilitate these investments.
The two leaders welcomed the announcement by Korean Air (KAL) in August of a purchase order of 103 Boeing aircraft powered by GE Aerospace engines. The Boeing commitment is valued at U.S. $36 billion and will include a mix of Boeing 737 MAX jets, 787 Dreamliners, and 777X passenger and freighters, bringing KAL’s total order in 2025 to more than 150 Boeing airplanes.
The United States and the ROK welcome the Buy America in Seoul initiative, whereby the ROK, in collaboration with the State Governments, will organize an annual exhibition featuring U.S. companies, includ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o promote the export of U.S. goods into Korea.
■PROMOTING RECIPROCAL TRADE
The two leaders recognized that the recently announced deal reflects a common goal to increase mutually beneficial trade and investment. In the spirit of the deal, the United States and the ROK will address nontariff barriers and memorialize commitments and a plan of action to promote reciprocal trade, to be adopted by the KORUS Joint Committee before the end of the year. This will include but not be limited to the following:
The ROK will eliminate the 50,000-unit cap on U.S.-originating Federal Motor Vehicle Safety Standards (FMVSS)- compliant vehicles that can enter the ROK without further modifications. The ROK will also reduce regulatory burdens for U.S. automotive exports by not requiring additional documentation in its emissions certification process other than those submitted to U.S certification authorities.
The ROK will work together with the United States to address non-tariff barriers affecting trade in food and agricultural products, including by: ensuring that existing commitments under bilateral agreements and protocols are met; streamlining the regulatory approval process for agricultural biotechnology products and resolving the backlog of U.S. applications; establishing a U.S. Desk dedicated to requests for U.S. horticultural products; and preserving market access for U.S. meats and cheeses that use certain terms.
The United States and the ROK commit to ensure that U.S. companies are not discriminated against and do not face unnecessary barriers in terms of laws and policies concerning digital services, including network usage fees and online platform regulations, and to facilitate cross-border transfer of data, including for location, reinsurance, and personal data. Further, the United States and the ROK will support the permanent moratorium on customs duties on electronic transmissions at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The ROK commits to provide additional procedural fairness provisions in competition proceedings, including the recognition of attorney-client privilege.
The United States and the ROK will work together to protect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ROK will continue to take the necessary steps to accede to the Patent Law Treaty.
The United States and the ROK commit to work together to ensure strong protection of internationally-recognized labor rights. The United States and the ROK will work together to combat all forms of forced labor globally, including by combatting the importation of goods made with forced labor.
The United States and the ROK reaffirm the importance of ensuring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protection do not distort trade and investment. To this end, the ROK will effectively enforce its environmental laws to facilitate reciprocal trade, including by fully implementing the WTO Agreement on Fisheries Subsidies.
■PROTECTING ECONOMIC PROSPERITY
The two leaders acknowledged the need to strengthen economic and national security alignment in order to preserve our competitiveness and maintain secure supply chains. This includes cooperation to combat duty evasion and taking complementary actions to address unfair and non-market policies and practices, enhancing inbound investment and outbound investment regulations, and both countries will ensure that international procurement obligations provide a benefit to those countries that have taken on the same commitments.
■MODERNIZING THE U.S.-ROK ALLIANCE
The United States underscored its commitment to the defense of the ROK through the enduring presence of the U.S. Forces Korea (USFK).
The United States reaffirmed its pledge to provide extended deterrence, leveraging the full range of its capabilities, including nuclear. The two leaders committed to strengthening cooperation through consultation mechanisms including the Nuclear Consultative Group.
President Lee shared the ROK’s plan to increase its defense spending to 3.5% of GDP as soon as possible in accordance with ROK legal requirements, which President Trump welcomed.
The ROK also committed to spending $25 billion on U.S. military equipment purchases by 2030, and shared its plan to provide comprehensive support for U.S. Forces Korea amounting to $33 billion in accordance with ROK legal requirements.
The two leaders committed to continue alliance cooperation toward the transition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With the support of the United States, the ROK pledged to accelerate efforts to strengthen its military capabilities necessary to lead the combined conventional defense against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These include acquisition of advanced U.S. weapons systems and expansion of bilateral defense industrial cooperation, including in high-tech weapons systems.
The United States and the ROK will enhance U.S. conventional deterrence posture against all regional threats to the Alliance, including the DPRK. The two sides affirm relevant understandings since 2006. Both sides will continue close consultation and report the progress on implementation to their leadership.
The United States and the ROK pledged to expand cooperation in cyberspace and outer space. The two leaders also reaffirmed their intention to continue working together on AI in the military domain.
■COORDINATING ON KOREAN PENINSULA AND REGIONAL ISSUES
The two leaders committed to peace, security, and prosperity both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the Indo-Pacific region.
The two leaders reiterated their commitment to the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the DPRK and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pledged to work together to implement the Joint Statement of the 2018 U.S.-DPRK Singapore Summit.
Both leaders agreed to coordinate closely on DPRK policy and called on the DPRK to return to meaningful dialogue and abide by its international obligations, including by abandoning its weapons of mass destruction (WMD) and ballistic missile programs.
The two leaders committed to strengthen the trilateral partnership with Japan.
The two leaders reaffirmed efforts to uphold freedoms of navigation and overflight and other lawful uses of the sea. They reaffirmed that the maritime claims of all nations should comply with the international law of the sea.
The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eserving peace and stability across the Taiwan Strait. They encouraged the peaceful resolution of cross-Strait issues and opposed unilateral changes to the status quo.
■FURTHERING OUR MARITIME AND NUCLEAR PARTNERSHIP
The United States welcomed the ROK’s commitment to contribute to modernizing and expanding the capacity of American shipbuilding industries, including through investments in U.S. shipyards and America’s workforce. The ROK welcomed the United States’ support for the ROK’s civil and naval nuclear power programs.
Both countries committed to collaborate further through a shipbuilding working group, including on 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workforce development, shipyard modernization, and supply chain resilience.
These initiatives will increase the number of U.S. commercial ships and combat-ready U.S. military vessels as quickly as possible, including the potential construction of U.S. vessels in the ROK.
Consistent with the bilateral 123 agreement and subject to U.S. legal requirements, the United States supports the process that will lead to the ROK’s civil uranium enrichment and spent fuel reprocessing for peaceful uses.
The United States has given approval for the ROK to build nuclear-powered attack submarines. The United States will work closely with the ROK to advance requirements for this shipbuilding project, including avenues to source fu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