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사진 오른쪽)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 왼쪽)이 악수를 나누고 있다. [출처=연합]
이재명 대통령(사진 오른쪽)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 왼쪽)이 악수를 나누고 있다. [출처=연합]

■주요 산업 재건 및 확장

트럼프 대통령과 이재명 대통령은 한미 동맹의 강력함과 지속성을 반영하는 지난 7월의 역사적인 발표, '한미 전략적 무역 및 투자 협정(The Korea Strategic Trade and Investment deal)'을 재확인했습니다.

양국 정상은 조선, 에너지, 반도체, 의약품, 핵심 광물, 인공지능/양자 컴퓨팅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다양한 분야에서의 한국 투자를 환영하여 경제 및 국가 안보 이익 증진에 기여하도록 했습니다.

이 협정에는 미국이 승인한 조선 부문에서의 1500억달러 규모의 한국 투자가 포함되며, 이를 '승인된 투자(Approved Investments)'라고 칭합니다.

또한 전략적 투자를 위한 양해각서(MOU)에 따라 약정된 2000억달러 규모의 추가적인 한국 투자가 포함되며, 이는 미국과 한국 대표들이 서명할 예정입니다.

REBUILDING AND EXPANDING CRITICAL INDUSTRIES

President Trump and President Lee reaffirmed the historic announcement in July of The Korea Strategic Trade and Investment deal, which reflects the strength and endurance of the U.S.-ROK Alliance. 

Both leaders welcome Korean investments in various sectors to advance economic and national security interest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shipbuilding, energy, semiconductors, pharmaceuticals, critical minerals, and artificial intelligence/quantum computing.

This deal includes $150 billion of Korean investment in the shipbuilding sector approved by the United States, which is referred to as the Approved Investments.

This deal also includes $200 billion of additional Korean investment committed pursuant to the Memorandum of Understanding with respect to Strategic Investments (MOU), which is expected to be signed by representatives of the United States and ROK.

■호혜적 관세 조치 및 섹션 232 관세 조정

미국은 2025년 4월 2일자 행정명령 14257호(개정 포함)에 규정된 호혜적 관세의 목적을 위해, 대한민국산(産) 원산지 물품에 대해 한미 자유무역협정(KORUS FTA) 또는 미국 최혜국(MFN) 관세율 중 적용 가능한 더 높은 세율 혹은 15%의 관세율 중 더 높은 세율을 적용할 것입니다.

의약품에 부과되는 섹션 232 관세에 대해서는, 미국은 대한민국산 원산지 물품에 15%를 넘지 않는 섹션 232 관세율을 적용할 의향입니다.

반도체(반도체 제조 장비 포함)에 부과되는 섹션 232 관세에 대해서는, 미국은 한국에 대해 향후 미국의 판단에 따라 한국의 반도체 무역 규모만큼 큰 규모의 반도체 무역을 다루는 향후 협정에서 제시될 수 있는 조건보다 불리하지 않은 조건을 제공할 의향입니다.

The United States will apply the higher of either the U.S.-Korea Free Trade Agreement (“KORUS FTA”) or U.S. Most Favored Nation (“MFN”) tariff rate, as applicable, or a tariff rate of 15 percent on originating goods of the ROK, for purposes of the reciprocal tariff provided under Executive Order 14257 of April 2, 2025, as amended.

For any Section 232 tariffs imposed on pharmaceuticals, the United States intends to apply to originating goods of the ROK a Section 232 tariff rate no greater than 15 percent.

For any Section 232 tariffs imposed on semiconductors (including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the United States intends to provide terms for such Section 232 tariffs on Korea that are no less favorable than terms that may be offered in a future agreement covering a volume of semiconductor trade at least as large as Korea’s, as determined by the United States.

■외환 시장 안정성

미국과 한국은 MOU에 포함된 각자의 약속과 관련하여 MOU가 한국의 외환 시장 안정성에 미칠 잠재적 영향에 대해 철저히 논의했습니다.

양국은 MOU의 약속이 시장 불안정을 초래해서는 안 된다는 상호 이해에 도달했습니다.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서, 양국은 한국이 어떠한 회계연도에도 총 200억달러를 초과하는 미 달러 자금을 조달하도록 요구받지 않을 것에 동의했습니다.

한국은 시장에 미칠 잠재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시장 매입 이외의 수단을 통해 미 달러를 최대한 조달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입니다.

만약 MOU 약속 이행이 원화의 무질서한 움직임과 같은 시장 불안정을 야기할 것으로 보일 경우, 한국은 자금 조달 금액과 시기의 조정을 요청할 수 있으며, 미국은 이러한 요청을 선의로 충분히 고려할 것입니다.

The United States and the ROK, in connection with their respective commitments included in the MOU, have thoroughly discussed the potential impact of the MOU on the foreign exchange market stability of the ROK.

They have reached a mutual understanding that commitments in the MOU shall not be allowed to give rise to market instability.

As trusted partners, the two nations agree that the ROK shall not be required to fund an aggregate amount of U.S. dollars greater than $20 billion in any calendar year. 

The ROK will use its best efforts, to the greatest extent possible, to source the U.S. dollars through means other than market purchases so as to minimize any potential impact on the market.

Should it appear that the fulfillment of the commitments in the MOU may cause market instability, such as disorderly movements of Korean won, the ROK may request an adjustment in the amount and timing of the funding, and the United States will, in good faith, give due consideration to such request.

■통상 관계 강화 및 호혜적 무역 증진

양국 정상은 사기업 부문의 강력한 양자 경제 파트너십에 대한 신뢰를 반영하는 전략적 분야에서의 일련의 상업적 약속을 환영했습니다.

양국 정상은 지난 8월 한국 기업들이 트럼프 대통령 임기 동안 미국에 총 1500억달러 규모의 해외 직접 투자(FDI)를 발표한 것을 환영했으며, 양국은 이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입니다.

양국 정상은 지난 8월 대한항공(KAL)이 GE 에어로스페이스 엔진이 장착된 보잉 항공기 103대를 구매 주문한 것을 환영했습니다. 이 보잉 계약은 360억달러 규모이며 보잉 737 MAX, 787 드림라이너, 777X 여객기와 화물기를 포함하며, 2025년 KAL의 총 보잉 주문량을 150대 이상으로 늘릴 것입니다.

The two leaders welcomed a series of commercial commitments in strategic sectors, reflecting the confidence of the private sector in the strong bilateral economic partnership.

The two leaders welcomed the announcement in August by ROK companie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s in the United States totaling $150 billion during President Trump’s term. Both countries will use their best efforts to facilitate these investments.

The two leaders welcomed the announcement by Korean Air (KAL) in August of a purchase order of 103 Boeing aircraft powered by GE Aerospace engines. The Boeing commitment is valued at U.S. $36 billion and will include a mix of Boeing 737 MAX jets, 787 Dreamliners, and 777X passenger and freighters, bringing KAL’s total order in 2025 to more than 150 Boeing airplanes.

■자동차

한국은 미국 원산지 FMVSS(연방 자동차 안전 기준) 준수 차량이 추가 수정 없이 한국에 진입할 수 있는 5만대 상한선을 철폐할 것입니다. 또한, 한국은 미국 인증 당국에 제출된 서류 외에 배출가스 인증 과정에서 추가 서류를 요구하지 않음으로써 미국 자동차 수출에 대한 규제 부담을 줄일 것입니다.

The ROK will eliminate the 50,000-unit cap on U.S.-originating Federal Motor Vehicle Safety Standards (FMVSS)-compliant vehicles that can enter the ROK without further modifications.  The ROK will also reduce regulatory burdens for U.S. automotive exports by not requiring additional documentation in its emissions certification process other than those submitted to U.S certification authorities.

■디지털 서비스

미국과 한국은 네트워크 사용료 및 온라인 플랫폼 규제를 포함한 디지털 서비스 관련 법규 및 정책에서 미국 기업이 차별받지 않고 불필요한 장벽에 직면하지 않도록 보장하며, 위치 정보, 재보험 및 개인 데이터를 포함한 국경 간 데이터 전송을 촉진할 것에 약속합니다. 나아가, 양국은 세계무역기구(WTO)에서 전자 전송에 대한 관세 부과 영구 유예를 지지할 것입니다.

The United States and the ROK commit to ensure that U.S. companies are not discriminated against and do not face unnecessary barriers in terms of laws and policies concerning digital services, including network usage fees and online platform regulations, and to facilitate cross-border transfer of data, including for location, reinsurance, and personal data. Further, the United States and the ROK will support the permanent moratorium on customs duties on electronic transmissions at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