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파 안전 기준 부적합 판정을 받은 해외직구 제품들. [출처=과기정통부]](https://cdn.ebn.co.kr/news/photo/202511/1687230_705432_2056.jpg)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해외 직구로 유입되는 정보통신기술(ICT) 제품을 조사한 결과, 상당수 제품이 국내 전파 안전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18일 밝혔다. 정부는 소비자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다.
과기정통부는 알리, 테무, 아마존 등 해외 온라인 쇼핑몰에서 직접 구매한 29종의 제품을 대상으로 전파 안전성 적합 여부를 점검했다. 그 결과 약 4분의 1에 해당하는 7개 제품이 기준을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기준에 미달한 제품은 △헤어드라이어 △전기드릴 △휴대용 선풍기 △목걸이형 선풍기 △스탠드형 선풍기 △무선 마이크 △CCTV 등으로 국내 소비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글로벌 브랜드 제품은 포함되지 않았다. 이들 제품 상당수는 제조사와 모델명이 제대로 표기되지 않는 등 기본 정보조차 불완전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 규정상 해외직구 물품은 개인 사용 목적일 경우 KC 전파 인증을 반드시 받지 않아도 된다. 이 때문에 저가형 비정상 제품이 국내에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가격만 보고 구매하기보다는 KC 인증을 받은 정식 유통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며 소비자들의 신중한 선택을 강조했다.
아울러 부적합 판정 제품에 대해서는 국내외 온라인 판매 플랫폼에 판매 차단을 요청했으며, 관련 정보는 국립전파연구원과 ‘소비자24’ 누리집을 통해 공개됐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