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출처= 연합]
인천공항 [출처= 연합]

중국과 일본 정부의 갈등이 격화되면서 국내 항공사들에 기회로 작용할지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본행을 포기한 중국인 관광객이 한국으로 이동할 경우 중국노선을 확대해 온 국내 항공사 실적에 긍정적 영향을 기대할 수 있다.

1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중국정부는 자국민에게 일본여행을 자제할 것을 권고했다.

이에 에어차이나, 중국남방항공, 중국동방항공, 하이난항공 등 주요 중국 항공사들은 예약된 항공권에 대해 무료 취소 또는 일정 변경을 허용했다.

갈등은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발언에서 촉발됐다. 다카이치 총리가 ‘타이완 유사시 일본의 개입 가능성’을 시사하자, 중국 정부는 즉각 자국민을 대상으로 일본 여행 자제령을 내렸다.

이후 중국 외교 당국과 관영 매체를 중심으로 일본 방문 자제를 촉구하는 메시지가 연이어 나오며 여론은 급속히 냉각됐다. 중국정부가 일본행을 전면 봉쇄하지는 않았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사실상 일본 여행을 포기하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발생하고 있다.

일본정부관광국(JNTO)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일본을 방문한 해외 관광객 수는 3554만7200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약 20%에 해당하는 820만명이 중국인 방문객이며,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40.7% 수준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서는 중국인의 일본 여행 수요가 중단기적으로 한국과 동남아로 이동할 수 있다고 본다. 중국인 방일객 규모가 연간 1000만여 명 수준으로 추정되는데, 이 중 5~10%만 대체 목적지로 방향을 틀어도 주변국 항공사에는 의미 있는 수요라는 분석이다. K-팝·미식·서울 관광 이미지를 구축해 온 한국이 ‘1차 대체지’로 떠오를 가능성이 크다는 평가다.

국내 항공사 입장에서도 중국발 수요 재편은 예의주시할 사안이다.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등 대형 항공사는 베이징·상하이·광저우 등 거점 노선을 중심으로 공급을 회복해 왔고, 제주항공·티웨이항공·진에어·에어부산 등 저비용항공사(LCC)는 지난 1~2년간 산둥·동북 3성·중서부 주요 도시까지 중국 노선을 공격적으로 늘려 왔다.

중국인 관광객이 일본 대신 한국으로 일부라도 선회할 경우 한국행과 중국행 양방향 수요가 모두 늘어나는 구조가 가능해진다. 중국 내 출발 수요가 증가하면 한국행 탑승률이 높아지고, 한국 출발 중국행 노선도 자연스럽게 수익성이 개선될 수 있다. 고환율과 원가 상승으로 수익성 압박이 커진 항공사 입장에서는 운임 방어에 도움이 되는 호재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한국과 중국 정부가 상호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면서 지난 10월 중국노선의 여객 수가 증가했다”며 “향후 한국을 향하는 중국인 여객이 증가할 경우 노선 증편 등 유연한 노선 전략으로 수익성 확보에 집중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