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일 갈등이 일시적 반사이익을 만들 수 있지만, 외교 변수에 흔들리는 구조라면 의미 있는 성장이라 보기 어렵다. 지금 필요한 건 기대감이 아니라 어떤 국면에서도 버틸 수 있는 관광 산업의 체질 강화다. [출처=오픈AI]
중·일 갈등이 일시적 반사이익을 만들 수 있지만, 외교 변수에 흔들리는 구조라면 의미 있는 성장이라 보기 어렵다. 지금 필요한 건 기대감이 아니라 어떤 국면에서도 버틸 수 있는 관광 산업의 체질 강화다. [출처=오픈AI]

중국 정부가 일본 여행 자제를 권고하며 사실상 ‘한일령’을 발동한 이후 국내 관광·유통업계가 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업계 내부에서는 중국인 관광객이 일본 대신 한국을 방문할 가능성이 있다는 기대와 함께 이를 단순 호재로 보기에는 위험이 크다는 경계의 시선이 동시에 제기된다.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중국인 관광객의 일본행 수요 일부가 한국으로 유입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올가을 중국 단체관광객(유커)의 무비자 연장 조치가 이어졌고, 지난달 27일부터 지난 1일까지 경북 경주에서 열린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로 관광 수요 증가까지 겹치면서 중국과 일본 간 긴장은 호재로 작용할 요인으로 분석되기도 한다.

그러나 반사이익에 대한 기대만큼이나 신중론도 상당하다. 중국과 일본 간 갈등이 격화할수록 한국 역시 여행 수요 변동성에 노출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한 관광업계 관계자는 “이번 사안을 섣불리 관광 호재로 해석하기보다 리스크 요인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며 “일본이 막히면 한국이 자동으로 수혜를 보는 구조는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의 아시아 전체 여행 심리가 위축되면 한국 역시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이 같은 패턴은 과거에도 반복됐다”고 덧붙였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태 당시처럼 중국 아웃바운드(국외 여행) 자체가 급감하는 흐름이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중국 관광객 의존도 재확대에 대한 경고도 있다. 중국인 관광객은 규모는 크지만 외교 변수에 가장 민감한 시장이기 때문이다.

업계는 사드 사태 당시 호텔·면세점 등이 입은 타격이 여전히 생생한 기억으로 남아 있다고 평가한다.

한 여행시장 전문가는 “‘한일령’을 계기로 중국 수요가 급증하면, 외교 변수 하나에 산업 전체가 또다시 흔들릴 수 있다”며 “지금은 반사효과보다 수요 안정화 체계를 점검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밝혔다.

일본 관광객 감소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 중·일 갈등이 커질 경우 일본인의 해외여행 심리 역시 위축될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한국 백화점·면세점·호텔업계에도 적지 않은 간접 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중국 관광객이 중요하지만 일본 관광객 역시 꾸준한 소비력을 지닌 핵심 수요층”이라며 “중국과 일본의 갈등 국면이 장기화하면 한국도 구조적 변동성에 노출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업계 일각에서는 이번 사안을 한국 관광 산업이 반사이익에 기대기보다 구조적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메시지로 해석한다. 한국 자체의 콘텐츠·경험·브랜드력이 산업을 지탱하는 근본 경쟁력이라는 의견이다.

또 다른 관광업계 관계자는 “외교 변동성은 예측하기 어렵고 반사효과는 일시적”이라며 “지속 가능한 성장은 결국 한국이 제공하는 콘텐츠 수준에 달려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는 중·일 긴장이 일정 기간 지속돼야만 관광 수요의 방향성이 통계에 반영될 것으로 보고 있다. 관광객 입국 통계, 패키지 판매량, 항공 예약 흐름 등이 실제로 움직이기까지 최소 1~2개월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당장은 ‘기대’와 ‘우려’가 얽혀 있는 과도기라는 평가가 우세하다.

결국 한일령이 한국 관광·유통업계에 가져올 영향은 반사이익보다 리스크 관리 능력에 달려 있다. 중국·일본 어느 한쪽에 크게 의존하지 않는 시장 다변화 전략과 체류형 콘텐츠 확대, 고부가가치 관광 상품 개발이 앞으로의 핵심 경쟁력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