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B737-8 항공기[출처=제주항공]
제주항공 B737-8 항공기[출처=제주항공]

이 한국과 중국의 상호 무비자 조치로 중국노선 수요가 빠르게 회복됐다.

제주항공은 올해 1월~10월 중국노선 탑승객이 49만5000여명을 기록해 지난 2024년 연간 탑승객 49만2900여명을 이미 초과했다고 18일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1~10월) 44만7800여 명과 비교해도 10% 넘게 늘어난 수준이다.

한·중 양국의 무비자 입국 허용이 수요 확대를 이끌었다. 지난해 11월 중국 정부가 한국인 무비자 입국을 허용한 데 이어, 올해 9월 한국 정부가 중국 단체 관광객에 대한 무비자 입국을 재개하면서 양국의 이동 수요가 힘을 받았다.

월별 탑승객도 꾸준한 증가세다. 올해 1월 3만1300여명이던 중국노선 탑승객은 8월 6만5100여명으로 두 배 이상 늘었다. 3분기 전체 탑승객은 18만2600여명으로 전년 동기 14만2500여명 대비 약 28% 증가했다.

제주항공 중국노선 탑승객 추이[출처=제주항공]
제주항공 중국노선 탑승객 추이[출처=제주항공]

수요 확대에 맞춰 노선 공급도 적극적으로 늘렸다. 제주항공은 지난 4월 인천~웨이하이 노선을 주 7회에서 주 10회로 증편했고, 7월 부산~상하이(푸동), 10월 인천~구이린 노선에 신규 취항하며 중국노선을 증편했다.

11월 기준 제주항공은 인천~칭다오·하얼빈·웨이하이·스자좡·구이린, 부산~장자제·상하이, 제주~베이징 등 국내 LCC 가운데 가장 많은 8개 중국노선을 운항한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한국인 비자면제 조치 연장과 중국 단체 관광객 무비자 등의 효과로 한중 여행수요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양국 여행객의 이동편의를 위해 중국노선 확대에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