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충남에서 처음 발생하면서 정부가 전국 위기 경보를 ‘심각’ 단계로 격상하고 초강도 방역 조치에 돌입했다.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25일 충남 당진시 한 돼지 농장에서 ASF가 확진됐다고 밝혔다. 지난 9월 경기 연천군 이후 2개월 만의 추가 사례이자 올해 들어 6번째 확진이다.
이번 확진으로 중수본은 이날부터 전국 모든 지역에 48시간 ‘일시이동중지명령(스탠드스틸)’을 발동했다. 돼지농장·도축장·사료공장 등 축산 관련 시설의 종사자와 차량 이동이 전면 차단된다. 중수본은 농장 간 수평전파를 막기 위한 긴급 조치라고 설명했다.
중수본은 확진 즉시 초동방역팀과 역학조사반을 투입해 외부인 출입을 통제하고 살처분·소독·역학조사 등 방역 작업을 진행 중이다. 또한 광역방제기와 방역차 등 31대를 동원해 당진과 인접한 서산·예산·아산 등 3개 시군 내 돼지농장 313곳과 주요 도로를 집중 소독하고 있다. 중앙기동방역기구 인력도 현장에 파견돼 살처분, 매몰, 잔존물 처리 등을 지원한다.
발생 농장 반경 10㎞ 방역대 내 30개 농장과 역학 관련이 있는 106개 농장 등 총 136곳에 대해 긴급 정밀검사가 이뤄지고 있다. 중수본은 해당 농가에 대해 7일 이내 1·2차 임상검사와 정밀검사를 마무리하고, 이동 제한 해제 시까지 매주 임상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지방자치단체는 권역별 돼지 이동 때마다 임상·정밀검사를 의무화하며,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는 위험지역 농장의 이상 여부를 매일 전화로 확인한다.
김정욱 농림축산식품부 농업혁신정책실장은 “ASF가 돼지 사육 규모가 가장 큰 충남에서 처음 발생한 만큼 사안이 매우 중대하다”며 “전국 확산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가용한 모든 인력과 자원을 총동원하라”고 지시했다.
그는 “충남 지역은 그동안 양돈농장과 야생멧돼지 모두에서 ASF가 확인된 적 없는 지역”이라며 “전국 지방정부는 ‘비발생 지역’도 언제든 위험해질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발생으로 인한 살처분 대상은 1423마리로, 전체 사육 두수(1194만7000마리)의 0.01% 수준에 불과하다. 중수본 측은 “돼지고기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면서도 “향후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