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워싱턴주 레드먼드의 앨버트슨 슈퍼마켓에서 추수감사절 연휴를 앞두고 식료품 쇼핑객들이 통로를 둘러보며 식료품을 살펴보고 있다. [출처=연합뉴스]
미국 워싱턴주 레드먼드의 앨버트슨 슈퍼마켓에서 추수감사절 연휴를 앞두고 식료품 쇼핑객들이 통로를 둘러보며 식료품을 살펴보고 있다. [출처=연합뉴스]

미국의 9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시장 예상치와 일치하는 상승률을 기록했다. 에너지 가격 급등이 전체 상승분을 이끌었지만, 변동성을 제거한 근원 물가는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미 노동부 노동통계국(BLS)은 25일(현지 시간) 9월 PPI가 전월 대비 0.3%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는 다우존스와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전망과 동일한 수준이다.

전년 동기 대비 상승률은 2.7%다. PPI는 일정 시차를 두고 최종 소비재 가격에 반영되기 때문에 ‘도매물가’로도 불리며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이번 상승에는 에너지 가격 영향이 컸다. 최종 수요 에너지 가격은 전월 대비 3.5% 상승해 전체 PPI 상승분의 약 3분의 2를 차지했다. 상품 부문 물가는 전월 대비 0.9% 오르며 지난해 2월 이후 1년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다만 서비스 부문 가격은 보합에 그쳤다.

근원 PPI는 전월 대비 0.1% 상승해 시장 예상치(0.3%)를 크게 밑돌았다. 이는 지난 6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며, 전년 대비 상승률은 2.9%로 3개월 연속 동일한 흐름을 유지했다. 블룸버그통신은 기업들이 고객 이탈을 우려해 관세·비용 증가분을 가격에 충분히 전가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지표 발표는 연방정부 셧다운 여파로 한 달 넘게 지연됐다. 통계 일정이 정상화되는 데는 연말까지 시간이 더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럼에도 이번 PPI는 9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추정치를 보완하는 참고자료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월가 전문가들은 앞서 공개된 CPI를 토대로 9월 근원 PCE 상승률을 전년 대비 2.9%로 추정한 바 있다.

통상 PPI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일부 세부 항목은 PCE 물가지수 산정에 사용돼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다. 다만 발표 시점이 두 달 전인 9월이라는 점, 최근 연준 위원들의 관심이 물가보다 고용 둔화 위험 쪽에 더 집중돼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이날 기준금리 선물시장은 12월 FOMC에서 0.25%포인트 금리 인하 가능성을 84.7%로 반영하고 있다. 전날 대비 큰 변동은 없으며, 월가는 다수의 연준 위원이 고용 약화 위험 대응에 무게를 둘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같은 날 공개된 소매 판매는 9월 중 0.2% 증가해 4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다만 8월(0.6%)에 비해서는 증가폭이 둔화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