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양식품 본사 전경[출처=삼양라운드스퀘어]
삼양식품 본사 전경[출처=삼양라운드스퀘어]

기업 지배구조 개선을 모색하는 비영리 사단법인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이 삼양식품의 최근 자사주 매각과 관련해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취득 목적을 실제로 이행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절대다수 의석을 가진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자사주 소각 의무화 법안을 추진하는 가운데, 삼양식품이 이를 앞두고 ‘선제 매각’에 나섰다는 의혹을 제기한 것이다.

기업거버넌스포럼은 26일 발표한 논평에서 “자사주 제도 개혁을 위한 상법 개정안 발의 직전에 삼양식품이 이사회를 통해 자기주식을 사실상 자산처럼 처분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든다”고 밝혔다.

전날 민주당은 새로 취득한 자사주는 물론 기존 보유 자사주도 1년 내 소각을 원칙으로 하는 ‘3차 상법 개정안’을 연내 처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코스피5000 특별위원회 오기형 위원장은 “주주가치 제고를 명분으로 자사주를 취득해 놓고 소각하지 않는 것은 사실상 허위 공시”라고 짚었다.

법안 추진 소식이 전해진 지 나흘 전인 지난 20일, 삼양식품은 공시를 통해 자사주 7만4887주(0.99%)를 1주당 132만6875원에 처분했다고 밝혔다. 포럼은 해당 물량이 비리디안 에셋 매니지먼트, 점프 트레이딩, 바이스 에셋 매니지먼트 등 외국계 3개 기관에 매각된 점에 주목했다. 이 가운데 2곳은 단기 매매 위주의 투자전략을 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장기투자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포럼은 “삼양식품 사례는 자기주식을 성장 재원 마련 명분으로 활용한 나쁜 선례”라며 “시가총액 10조원 규모의 K-푸드 대표 기업이 장기투자자가 아닌 단기 트레이딩 펀드에 지분을 넘긴 이유가 납득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김정수 대표이사 겸 이사회 의장을 포함한 8명의 이사들이 자사주 처분 과정에서 해당 사안의 영향과 정당성을 충분히 검토했는지에 대해서도 의문을 던졌다. 포럼은 “삼양식품의 올해 예상 실적 기준 주가수익비율(PER)은 25배 수준으로, 고(高)밸류에이션(기업가치) 유지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포럼은 이번에 매각된 자사주 가운데 기존 보유분 409주를 제외한 대부분이 2022년 2월 이사회 결의에 따라 취득된 물량이라는 점을 짚었다. 당시 자사주 취득 목적은 ‘주주가치 제고 및 임직원 성과보상’으로 돼 있다. 

포럼은 “3년9개월 전 취득한 자사주가 실제로 주주가치 제고와 성과보상에 어떤 방식으로 활용됐는지 삼양식품 측에 묻는다”며 “국내 상장기업은 공시를 통해 시장과의 약속을 하는 만큼, 이를 실행하려는 노력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