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28일 전문무역상사, 수입협회 등과 우크라이나 사태 악화에 따른 수출입 현황과 애로를 긴급 점검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오전 9시 30분부터 한시간 가량 무역센터에서 '전문무역상사 긴급 간담회'를 개최한다. 간담회에는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주재) △무역정책국장 △무역정책과장 △신북방통상총괄과장 △전문무역상사(포스코인터내셔널, 삼성물산, LX인터내셔널, 현대코퍼레이션) △무역협회 △수입협회 등이 참석한다.
여 본부장은 이번 간담회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물류, 원자재, 대금결제 등 수출입 현황 및 대응방안, 국제사회의 러시아 제재조치에 따른 영향에 대해 논의할 방침이다. 아울러 지난주 발표된 미국의 러시아 수출통제조치와 관련, 이번주 중 미국 정부 측과의 협의를 집중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전문무역상사는 현재 원자재 대체지역 비중 확대 등으로 대응하고 있지만 사태 악화 시 원자재 수급 불안, 물류운송 차질, 대금결제 애로 등을 우려하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현재 우크라이나 곡물 터미널 피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다만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모두 신규 구매 및 판매계약은 잠정 중단된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이날 전문무역상사는 지난 24일(현지시각) 미국 정부가 발표한 전략물자 등에 대한 대(對) 러시아 수출통제 조치와 관련된 불확실성을 제기하며, 업계에 대한 신속한 정보제공의 중요성을 강조할 예정이다.
여 본부장은 특히 미국의 해외직접제품규칙(FDPR) 등 대러 수출통제 강화조치가 우리 업계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번주 중 미국 상무부 산업안보국(BIS)과 국장급 협의를 실시하는 한편 여 본부장도 직접 미 정부 고위층을 연쇄 접촉할 계획이다.
한편 산업부는 지난 24일 전략물자관리원 내 '러시아 데스크' 본격 가동 이후 이틀간 미 측 제재에 따른 산업별‧품목별 대러 수출 지속 가능성 등에 대해 총 60여건의 문의를 접수하여 관련 정보와 컨설팅을 제공 중이다.
또한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코트라, 무역협회 등에 최근 개설된 기업애로 접수‧해소지원 전담창구를 통해 정보 공유, 물류‧거래 차질 해소, 유동성 공급, 법률 컨설팅 등의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과거 이란 제재‧재제재 등의 경험을 토대로 살펴볼 때 우리 기업들을 위한 적시의 정보제공, 상담, 애로해소 등의 선제적인 전담 지원 서비스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우크라이나 전황이 예측불가능하므로 긴장감을 늦추지 말고 비상대응체제를 유지해줄 것"을 당부하며 "기업들이 우려하고 있는 대 러시아 수출통제 동참도 현재 미국 측과 긴밀히 협의 중인 바 최대한 신속히 마무리하고 기업들에 정보제공, 애로해소에 주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급변하는 현지 동향 실시간 공유, 수출입 물류‧대금결제‧계약 차질 등 한 치의 애로도 놓치지 않도록 가용한 정책수단을 총동원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