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1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5대 금융지주 회장들과의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레고랜드 사태를 시작으로 자금시장 경색이 시작된 가운데 5대 금융지주가 유동성 지원을 통해 돈맥경화 완화에 적극 나서겠다는 의견을 내놨다. 일각에서는 실효성에 의문을 표하는 불만도 터져 나온다. 실질적인 현금 지원에 아닌 만큼 필요 자금을 획득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는 시각에서다.

2일 금융당국과 금융권 등에 따르면 전일 KB·신한·우리·하나·NH농협 등 5대 금융지주는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주재한 회의에서 자금 시장 경색 해소를 위해 연말까지 95조원 규모 자금을 시중에 풀기로 결정했다.

종류별로 보면 회사채 매입을 비롯한 유동성 공급 확대에 73조원이 투입된다. 채권시장안정펀드 및 시장안정펀드 참여 12조원, 5대 금융지주 계열사 중 자금난을 겪는 회사를 위한 자금 지원 10조원 등이다. 다만 금융지주별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세부적으로는 은행채 발행을 자제한다. 공기업과 소상공인, 중소기업, 대기업 자금 공급 확대, 특은채·여전채·회사채·기업어음(CP) 및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환매조건부채권(RP) 매입을 추진한다.

앞서 금융위는 지난주 한국증권금융을 통해 환매조건부채권(RP) 거래 및 증권 담보대출 등을 통해 중소형 증권사에게 3조원의 유동성 지원을 약속하기도 했다. 산업은행을 통해 2조원 규모 기업어음(CP) 매입에도 나선다.

다만 대형 증권사의 중소형 증권사 지원 등 업계 내 해결 가능한 부분은 자체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정부 재원으로 모두 해결하라는 것은 맞지 않고, 민간이 해결할 수 있는 건 민간이 해결해야 한다"며 "부족한 부분을 정부에 지원해달라고 해야지 정부가 모두 지원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말했다.

증권가 한 관계자는 "2021년 8월 기준금리 인상을 시작으로 신용 스프레드는 줄곧 확대 양상이고 그 혼란은 유동성 경색 수준까지 번지는 분위기다"며 "최우선으로 현금 확보에 매진해야 한다는 의견도 등장해 금융시장 돈줄이 얼마나 메말라가고 있는지 단적으로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른 관계자는 "대출이 필요한 입장에서 실질적으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장벽이 높아 필요한 액수의 금액을 지원받는 게 불가능하다"며 "일부 증권사의 경우 필요 자금과 실제 받을 수 있는 자금이 달라 자금지원 신청을 고민하는 곳도 있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또다른 관계자는 "은행권에서 유동성 공급을 위해 자금을 푸는 것 자체는 긍정적이지만 부정적인 상황을 생각할 경우 마냥 좋은 것 또한 아니다"며 "만약 은행에서 부담을 느낄 경우 이 역시 또다른 경제적 파장을 야기할 수 있다"고 우려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