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희 삼성 선대회장이 1993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신경영을 선포하는 모습. [제공=삼성전자]
이건희 삼성 선대회장이 1993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신경영을 선포하는 모습. [제공=삼성전자]

"삼성을 세계적인 초일류 기업으로 성장시키겠습니다."

호암(湖巖) 이병철 삼성 창업주가 별세한 후 1987년 12월 1일 만 45세의 젊은 이건희 회장이 취임사에서 언급한 말이다. 이날 삼성그룹 2대 회장에 오른 그는, 약속대로 책임감과 능력을 발휘하며 '일류 기업 삼성'을 일궈냈다. 

고(故) 이건희 삼성그룹 선대회장의 4주기 추모식이 25일 진행된다. 재계에 따르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모친인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 등 유족은 이날 오전 경기도 수원 선영을 찾아 고인을 추모할 예정이다.

특히 대내외적으로 위기론이 대두된 만큼 삼성은 지난해와 견줘 차분한 분위기 속에 고인을 기리고, 의료·문화 공헌 등에 힘썼던 선대회장의 철학과 정신을 되새기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위기론'이 번지고 있는 상황 속 이 회장은 지난 21일 이건희 삼성 선대회장의 사회공헌 사업인 소아암·희소질환 극복사업 행사에 모습을 드러냈으나, 경영 관련 발언은 내놓지 않았다.

소아암·희귀질환 환아 지원은 이 선대회장의 '어린이 사랑'과 '인간 존중' 철학을 바탕으로 한 의료 공헌의 일환이다. 사업단은 2021년 선대회장의 유족으로부터 전달받은 기부금 3000억원을 재원으로 출범했다. 2030년까지 10년간 국내 소아암·희귀질환 환자의 진단·치료·연구를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삼성은 전날(24일) 오후 경기 용인 삼성전자 인재개발원에서 4주기 추모음악회를 열고 기인을 기렸다. 

한종희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 부문장(부회장), 전영현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장(부회장)을 포함해 최주선 삼성디스플레이 사장, 장덕현 삼성전기 사장 등 전자 계열사 사장들은 공연 시작 전 회동을 가진 것으로 전해졌다.

이 회장과 삼성 사장단들은 4주기 추도식 참배 이후 용인 삼성인력개발원에 있는 창조관으로 이동, 오찬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창조관은 신입사원의 교육장이자 선대회장의 흉상이 설치된 장소로 예년에도 이 회장은 추도식에 참석한 뒤 오찬을 함께한 바 있다.

일각에서는 삼성이 예년보다 조용한 행사를 치른다지만, 이 회장 취임 2년 만에 삼성전자가 유례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는 점에서 혁신안이나 임직원들의 사기 진작을 위한 담은 별도의 메시지가 나올 가능성도 점치고 있다. 

실제 삼성전자는 3분기 영업이익 기준 전년동기 대비 274.5% 늘어난 9조1000억원을 올렸지만, 증권가가 기대한 10조원대에 미치지 못했다. 세부 실적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부문의 부진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 회장은 지난 2022년 회장 승진에 앞서 가진 계열사 사장단 오찬 당시 "지금은 더 과감하고 도전적으로 나서야 할 때"라며 "어렵고 힘들 때일수록 앞서 준비하고 실력을 키워나가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특히 삼성은 이 회장 취임일(27일), 삼성전자 창립 기념일(11월 1일) 등 굵직한 이벤트들을 남겨두고 있어 재계는 이 회장의 발언 가능성에 예의주시하고 있다.

삼성이 품종 보존을 위해 관리하던 어린 진돗개들과 시간을 보내고 있는 이건희 선대회장의 생전 모습. [제공=삼성]
삼성이 품종 보존을 위해 관리하던 어린 진돗개들과 시간을 보내고 있는 이건희 선대회장의 생전 모습. [제공=삼성]

한편 이 선대회장은 1987년 부친인 이병철 창업회장 별세 후 삼성그룹 2대 회장에 올랐고, 1993년 "마누라와 자식만 빼고 다 바꿔라"로 대표되는 '신경영 선언'으로 그룹 혁신을 추진해 삼성을 글로벌 기업 반열에 올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선대회장은 2014년 5월 서울 용산구 자택에서 심근경색으로 쓰러진 뒤 6년 5개월여간 병석에 있다 2020년 10월 25일 향년 78세로 별세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