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 수수료율을 점포 매출 규모에 따라 달리 적용하는 '차등 수수료' 도입에 따라 점주 부담이 최대 36% 줄어든다는 분석이 나왔다. [제공=연합]
배달 수수료율을 점포 매출 규모에 따라 달리 적용하는 '차등 수수료' 도입에 따라 점주 부담이 최대 36% 줄어든다는 분석이 나왔다. [제공=연합]

배달 수수료율을 점포 매출 규모에 따라 달리 적용하는 '차등 수수료' 도입에 따라 점주 부담이 최대 36% 줄어든다는 분석이 나왔다.

17일 배민은 자사 '배민1플러스' 이용 점주 20만 명을 대상으로 평균 객단가(2만5000원) 주문 100건 수행 시 상생안(차등 수수료) 적용에 따른 부담 변동 시뮬레이션 결과를 발표했다.

배민은 "점주 20만 명 중 매출 하위 20% 4만명은 수수료와 배달비를 더한 부담이 지금보다 19만 5000원, 36% 줄어든다"며 "이는 지난 7월 인상 전 수수료율 6.8%를 적용한 경우와 비교해도 33% 감소한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또 매출 상위 35∼50% 구간과 상위 50∼80% 구간에 속하는 점주 약 9만명은 같은 기준을 적용하면 지금보다 각각 5만5000원(10%), 7만5000원(14%)의 부담 비용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민 관계자는 "차등 수수료가 담긴 상생안이 적용되면 배민을 이용하는 점주 20만여명 중에서 65%인 13만명의 비용 부담이 줄어들게 된다"며 "전반적으로 수수료 부담이 완화해 점주들이 배달 메뉴 가격 인상을 자제하고, 소비자를 위한 할인 쿠폰 발행과 같은 혜택을 늘릴 것으로 보인다"고 기대했다.

다만 상위 35% 구간에 속하는 점주 약 7만명은 평균 객단가 주문을 수행할 때 부담이 현재와 동일하다. 중개 수수료는 9.8%에서 7.8%로 낮아지지만, 배달비 부담이 늘어나서다. 이들 점주는 주문 금액이 객단가 2만5000원보다 높으면 비용이 지금보다 줄어들지만, 객단가가 2만5000원이 안 되는 주문의 경우에만 현재보다 중개 수수료와 배달비 부담이 커지는 단점이 있다.

외식업계는 매출액 상위 35%에 속하는 점주 7만여명은 대부분 BBQ치킨, bhc치킨, 교촌치킨 등 대형 치킨프랜차이즈 3사와 도미노피자, 맥도날드 등의 가맹점주가 주로 속해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배민은 "매출 상위 35% 구간 점주는 배달비 부담이 현재보다 커지고, 수수료는 낮아지기 때문에 객단가가 2만5000원보다 높아질수록 비용 경감의 폭이 커진다"고 설명했다.

다만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와 전국가맹점주협의회, 한국외식산업협회 등 3곳은 이번 상생안이 배민의 기존 수수료율인 6.8%보다 여전히 높다며 반발하고 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