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앱 중개수수료가 현행 9.8%에서 2~7.8%로 떨어진다.
14일 배달플랫폼-입점업체 상생협의체는 제12차 회의를 열고 이 같은 상생안을 도출했다고 밝혔다.
상생협의체는 지난 8일 마지막으로 열린 11차 회의에서까지 상생안 도출에 실패한 바 있다. 마지막 회의 직후 공익위원들은 배달플랫폼사에 최종 상생방안을 제출하도록 요구했고, 추가 회의 끝에 극적 타결을 이끌어 낸 것이다.
최종 상생안에는 배민과 쿠팡이츠가 최고 수수료율을 7.8%로 낮추는 내용이 포함됐다. 거래액(각 배달앱에서 발생한 매출액) 기준 상위 35% 가게에는 7.8%의 수수료율을 부과한다.
거래액 하위 20% 가게에는 2.0%의 수수료율을 적용하기로 했다. 이들을 제외한 중간 가게는 6.8%를 수수료로 내게 된다.
자영업자들이 내는 배달비는 현행 1900~2900원에서 최대 500원가량 비싸진다. 배달비 역시 매출에 따라 차등 적용돼 하위 20%는 지금처럼 최대 2900원만 부담하면 된다.
구체적으로 거래액 기준 ▲상위 35% 가게는 중개이용료 7.8%, 배달비는 지역별 2400원~3400원 ▲상위 35~50% 가게는 중개이용료 6.8%, 배달비 2100원~3100원을 적용한다.
▲상위 50~80% 가게는 중개이용료 6.8%에 배달비 1900원~2900원 ▲하위 20% 가게는 중개이용료 2%, 배달비 1900원~2900원을 책정했다. 아울러 배민 앱에서 제공하는 전통시장 배달 서비스의 중개이용료와 배달비는 무료 적용하기로 했다.

이번 상생안을 통해 하위 65% 가게는 배민1플러스 중개이용료가 9.8%로 변경되기 전(중개이용료 6.8%, 배달비 2,500원~3,300원)보다도 더 비용이 내려가 해당 업체의 부담이 크게 완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로 인해 약 13만 입점 업체가 비용을 낮추는 혜택을 볼 수 있게 된다.
특히 하위 20%에 대해서는 공공배달앱 수준의 2% 중개이용료를 적용하는 등 큰 폭의 인하를 적용해 어려운 영세 자영업자들이 부담을 덜고 새로운 성장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했다.
공공배달앱 대비 압도적인 광고 효과와 주문 수를 누릴 수 있고 배민이 직접 배달 품질과 고객 응대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리미엄 서비스에 2%라는 중개이용료를 적용한 것은 파격적이라는 평가다.
공익위원들은 "배민과 쿠팡이츠의 상생방안이 입점업계의 기대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최근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영세 소상공인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이어 "이번 상생방안은 배달앱 시장의 상생과 변화를 위한 첫걸음인 만큼 추후 상생 논의가 지속돼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관련 상설기구 설치를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도 밝혔다.
배민과 쿠팡이츠는 내부 전산 작업 등을 마무리하는 대로 내년 초부터 이 같은 수수료율을 적용하기로 했다. 구체적인 시행 계획은 조만간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바뀐 수수료율을 적용하는 기간은 앞으로 3년간이다.
우아한형제들 관계자는 "정성스럽게 음식을 만들어 고객에게 제공하면서 묵묵히 생업을 이어나가는 자영업자에게 배민이 든든한 파트너가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힘쓰겠다"며 "시장 경쟁에 대응하고 업주와 함께 성장하며 소비자에게는 서비스 만족과 기술 혁신의 혜택을 드리기 위해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쿠팡이츠 관계자는 "고객들에게 무료배달 서비스를 유지하면서 모든 자영업자들에게 수수료 할인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상생안을 제안했다"며 "적자 상황의 후발주자임에도 배민의 차등수수료 상생안을 바탕으로 제외되는 매장없이 모든 자영업자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영세자영업자 지원과 의미있는 성과 도출을 위해 상생협의체를 이끌어준 기재부, 공정위 등 정부와 공익위원님들, 그리고 입점사업자단체에게 감사드린다"고 덧붙였다.
- '배달 수수료' 합의 끝내 실패…배민·쿠팡이츠, 중재안 거부
- 좁혀지지 않는 '배달 수수료' 이견…결국 부담은 소비자 몫?
- ‘배달앱 수수료’ 합의 끝내 실패…다음주 추가 회의
- "배달 수수료율 5% 제한" 마지막 상생협의체서 논의
- '앞광고'라도 더 명확하게… 표시·광고 심사지침 개정
- 배달 수수료 갈등 안끝났다…전가협 "조삼모사 상생안, 폐기하라"
- 배민 "차등 수수료 도입시 점주 부담 최대 36% 줄어"
- 배달앱 수수료 논란 여전…“부담 완화” vs “졸속 합의”
- 中企 기술자료 중국에 넘긴 귀뚜라미 9.5억 과징금·고발
- 프랜차이즈도 '배달 수수료 상생안' 반발…이중가격 더 번질듯
- 쿠팡, 서브허브 구축 속도…400여명 직고용
- 신문용지 가격 담합…3개 업체 과징금 305억
- '배민프렌즈' 입소문에 몰려든 사장님들…가입 경쟁률 9:1 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