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츠(REITs·부동산투자회사)의 자산 규모가 도입된 지 23년 만에 100조원을 넘어섰다. 이는 최근 몇 년간의 가파른 성장세를 반영하는 수치다.
8일 연합뉴스 보도 등에 따르면 현재(11월 기준) 국내 리츠 개수는 395개, 자산 총액은 약 100조72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02년 약 6000억원 수준이던 초기 자산 규모에서 비약적인 증가를 이룬 것이다. 특히 ▲2020년 61조3100억원 ▲2021년 75조5600억원 ▲2022년 87조6600억원 ▲2023년 약 93조8700억원 등 매년 눈에 띄는 성장을 기록하며 올해 마침내 100조원을 초과했다.
운용 중인 리츠의 수도 도입 초기인 2002년에 단지 네 곳에 불과했지만, 현재는 총 395개로 대폭 확대됐다.
리츠 유형별로 보면 투자 및 운용을 전문 관리회사에 위탁하는 ‘위탁관리리츠’가 전체의 대다수를 차지하며, 총 376개로 가장 많다.
이어 기업 구조조정용 부동산 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구조조정리츠(CR리츠)’가 15개, 그리고 직접 투자와 운용을 수행하는 ‘자기관리리츠’는 네 개로 확인됐다.
특히 위탁관리리츠와 기업구조조정리츠는 당기순이익의 최소 90% 이상을 배당하도록 의무화되어 있어,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관련기사
키워드
#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