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뤼튼테크놀로지스]
[제공=뤼튼테크놀로지스]

정부가 내년도 연구개발(R&D) 예산을 역대 최대 규모인 약 5조7000억원으로 책정했다. 반도체와 이차전지 등 첨단산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는 23일 '2025년도 산업기술혁신사업 통합 시행계획'을 공고하고, 예산 집행 일정 등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22일 밝혔다.

분야별로 △반도체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바이오 △미래차 △차세대 로봇 등 6대 첨단전략산업에 1조2565억원을 투입한다. 이는 올해보다 14.4%(1581억원) 늘어난 규모다.

이어 경제 안보를 위한 공급망 안정화 초격차 기술 R&D 예산으로는 올해보다 4.8%, 838억원 늘어난 1조8158억원을 집행할 계획이다. 

인공지능(AI)과 디지털·친환경 전환에 대응하기 위한 R&D 예산은 21.9%, 1188억원 증가한 6602억원으로 책정됐다. 우수인력 양성을 위한 R&D에는 12.9%, 297억원 증가한 2591억원이다.

내년도 신규 R&D 과제는 1400여개로 산업부는 총 8700억원 규모의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중 70% 이상은 초격차 프로젝트에 투자한다.

구체적으로 △미세화 한계 돌파를 위한 반도체 첨단 패키징(178억원) △차세대 무기 발광디스플레이(180억원) △웨어러블 기기용 전고체배터리(50억원) △리튬이온 배터리 8분 내 급속 무선 충전(40억원) 등에 연구비를 지원할 방침이다.

또 △바이오파운드리 인프라 구축(52억원) △온디바이스 AI반도체(43억원) △세계 최고 자율차용 AI가속기 반도체(43억원) △통신용 반도체(46억원) △인간 신체와 유사하게 작동하는 소프트 로보틱스(32억원) 등에도 예산을 지원한다.

산업부는 내년 1월부터 과제를 공고해 4월부터 연구 수행기관과 협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내년 신규 과제는 상반기 중 85%를 선정할 계획이다.

제경희 산업부 산업기술융합정책관은 "치열한 기술패권경쟁 속에서 우리 기업과 연구자들이 세계 최고에 도전할 수 있는 사업에 2025년 예산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라며 "급변하는 산업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신속하게 예산을 집행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