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뤼튼테크놀로지스]](https://cdn.ebn.co.kr/news/photo/202412/1646631_658647_426.png)
정부가 내년도 연구개발(R&D) 예산을 역대 최대 규모인 약 5조7000억원으로 책정했다. 반도체와 이차전지 등 첨단산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는 23일 '2025년도 산업기술혁신사업 통합 시행계획'을 공고하고, 예산 집행 일정 등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22일 밝혔다.
분야별로 △반도체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바이오 △미래차 △차세대 로봇 등 6대 첨단전략산업에 1조2565억원을 투입한다. 이는 올해보다 14.4%(1581억원) 늘어난 규모다.
이어 경제 안보를 위한 공급망 안정화 초격차 기술 R&D 예산으로는 올해보다 4.8%, 838억원 늘어난 1조8158억원을 집행할 계획이다.
인공지능(AI)과 디지털·친환경 전환에 대응하기 위한 R&D 예산은 21.9%, 1188억원 증가한 6602억원으로 책정됐다. 우수인력 양성을 위한 R&D에는 12.9%, 297억원 증가한 2591억원이다.
내년도 신규 R&D 과제는 1400여개로 산업부는 총 8700억원 규모의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중 70% 이상은 초격차 프로젝트에 투자한다.
구체적으로 △미세화 한계 돌파를 위한 반도체 첨단 패키징(178억원) △차세대 무기 발광디스플레이(180억원) △웨어러블 기기용 전고체배터리(50억원) △리튬이온 배터리 8분 내 급속 무선 충전(40억원) 등에 연구비를 지원할 방침이다.
또 △바이오파운드리 인프라 구축(52억원) △온디바이스 AI반도체(43억원) △세계 최고 자율차용 AI가속기 반도체(43억원) △통신용 반도체(46억원) △인간 신체와 유사하게 작동하는 소프트 로보틱스(32억원) 등에도 예산을 지원한다.
산업부는 내년 1월부터 과제를 공고해 4월부터 연구 수행기관과 협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내년 신규 과제는 상반기 중 85%를 선정할 계획이다.
제경희 산업부 산업기술융합정책관은 "치열한 기술패권경쟁 속에서 우리 기업과 연구자들이 세계 최고에 도전할 수 있는 사업에 2025년 예산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라며 "급변하는 산업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신속하게 예산을 집행하겠다"고 말했다.
- 美 퀄컴, Arm과 '칩 라이선스' 소송 승소
- 올해 신규 상장사 70%가 공모가 하회…공모액 16% 증가
- 삼성전자, 美반도체 보조금 확정… 테일러 공장 추진 탄력
- [주간증시전망] 美 매파적 통화정책 부담 지속…코스피 저가 매력 부각 기대
- 삼성전자, 메모리 성과급 기본급 200%+α… "반도체 사기진작"
- 지속되는 고환율에 外人 증시 이탈 가속도 붙나
- 美, SK하이닉스와 6600억원대 보조금 지급 계약 체결
- 제2의 요소수 대란 막는다…공급망 안정화에 55조 투입
- SK 이어 삼성도 美 반도체 보조금 확정…'트럼프 2기' 변수
- 예산 집행 속도전…정부 "회계연도 개시 전 배정 11조6000억원 신속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