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
[연합]

무안공항 여객기 사고와 관련해 제주항공의 위기대응 능력 부족으로 발생한 사고라는 주장이 제기된다.

29일 제주항공에 정통한 다수의 관계자에 따르면 무안공항 참사는 사고기 기장의 판단 실수로 랜딩기어(항공기 바퀴) 고장 발생을 야기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당초 1차 착륙 시도에 그냥 내렸어야 했다”며 “여객기 상승추력으로 인한 엔진 데미지로 상태가 악화돼 유압계통에 이상이 발생했고 이로 인해 노기어로 랜딩(착륙)했을 가능성이 커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무안공항의 활주로는 2800m로 보잉 737-800기가 착륙하기 충분한 길이다”며 “목격자 동영상을 보면 활주로 끝단이 아닌 중간부터 지면과 맞닿기 시작하는데 동체착륙을 감안했을 때 착륙거리가 부족하다”라고 설명했다.

사고기가 무안공항 활주로 첫 시작점부터 동체착륙을 했다면 마찰력으로 인해 속도가 줄어들어 공항 외벽에 충돌하지 않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어 “해당 사고기 기장은 공군사관학교 출신이 아니며, 6000시간 이상 비행을 했어도 위기 대응 능력은 쉽게 갖추기 어렵다”고 전했다.

앞서 국토교통부도 무안공항 활주로가 짧아 충돌사고가 난 것 아니냐는 지적을 일축했다. 국토부는 “활주로 길이는 2800m로 유사한 크기의 항공기가 계속 운행해왔다”며 “활주로 길이로 인해 사고가 발생했다고 보긴 어렵다”고 일축했다.

737-800은 중·단거리 전용 항공기로 저비용항공사(LCC)의 주력 항공기다. 지난 1997년 출시 후 5000대 넘게 팔리며 보잉사 737 판매량의 절반 가까이 차지한다. 국내에서도 101대가 운항 중이다.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는 이번 사고 항공기인 7C2216편(B737-800)에 대해 “이전에 사고 이력이 없는 항공기다”며 “정비프로그램에 따라 정비를 하고 있었으며, 이상징후는 없었다”라고 설명했다.

송경훈 제주항공 경영지원본부장은 제주항공의 위기대응 능력 부족에 대한 지적에 “이번 항공기 사고는 조사를 통해 원인을 규명돼야하는 부분이다”며 “항공사는 항상 위기대응과 관련한 교육을 진행한다”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