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승구 대한건설협회장 [사진=연합뉴스]
한승구 대한건설협회장 [사진=연합뉴스]

건설산업의 장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는 가운데, 한승구 대한건설협회장이 2025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정상화와 공사원가 현실화를 주요 과제로 제시했다.

한승구 회장은 31일 발표한 신년사를 통해 건설경기의 장기 침체 상황을 진단하고 한국의 장기 성장동력 상실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협회 집계 결과, 올해 폐업한 건설업체는 3400곳, 부도 건설업체는 30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회장은 건설산업의 회복을 위한 다섯 가지 주요 사업 계획을 제시했다. 이는 건설산업 기술혁신, 제도 개선, 일하고 싶은 환경 구축, 사회적 가치 강화, 그리고 긍정적 홍보 활동을 포함한다.

특히 PF 사업 정상화에 대해 한 회장은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의 지원을 확대하고 불공정 관행을 개선해 PF 사업 정상화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신기술·특수공법·공종 다양화 등 현장 여건을 반영한 공사원가 산정 체계와 표준품셈 현실화로 적정 공사비가 지급되는 현장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한 회장은 주택·부동산 시장의 규제 완화를 통한 민간 건설 물량 창출과 숙련 건설인력 확보, 스마트 건설기술 보급 등 지속가능한 경영 환경 조성에 대한 의지도 표명했다.

정부의 건설경기 활성화 대책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한 회장은 "정부가 건설산업 활력 제고방안을 발표해 공공공사 낙찰률 상향 등 적정 공사비를 확보할 수 있는 희망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또한 "PF 대출 보증 5조원 추가 확대, 영업정지 시 공동주택 선분양 제한 기간 최대 50% 완화 등으로 건설업체의 유동성 확보와 민간 주택 공급 활성화에 숨통이 트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