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SK하이닉스
제공=SK하이닉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계가 글로벌 경쟁 속 핵심 인재 확보·이탈 방지를 위해 임직원들의 보상 체계에 변화를 주며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 등 해외로의 첨단 기술과 인재 유출이 빈번해지는 가운데 성과급 지급 방식을 새롭게 전환, 집토끼 지키기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21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근 임원에 대한 초과이익성과급(OPI)의 일부를 자사주로 지급하는 내용을 사내 게시판에 공지했다. 

상무는 성과급의 50% 이상, 부사장은 70% 이상, 사장은 80% 이상의 자사주를 선택해야 한다. 등기임원은 100%다. 해당 주식은 1년 후인 2026년 1월 실제 지급된다. 부사장 이하는 지급일로부터 1년간, 사장단은 2년간 각각 받은 주식을 매도할 수 없도록 했다.

성과급을 주가와 직접 연계해, 1년 뒤 주가(2026년 1월 기준)가 약정 체결 당시와 같거나 상승하면 약정 수량대로 받을 수 있지만, 주가 하락 시에는 하락률 만큼 지급 주식 수량도 줄어든다. 

내년부터는 이 같은 초과이익성과급 주식보상제도를 일반 직원에게도 적용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다만 직원들의 주식보상은 의무가 아닌 선택사항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 직원의 경우 주가 하락에 따른 주식 지급 수량 차감은 고려하지 않을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SK하이닉스는 사내 공지사항 게시판에 '주주 참여 프로그램 시행 안내'를 통해 이달 말 지급하는 성과급에 자사주 매입 옵션을 부여했다.  구성원들이 초과이익분배금(PS)의 일부(최대 50%)를 자사주로 선택해 보유할 수 있다.

자사주를 1년 보유하면 매입 금액의 15%를 현금으로 추가 지급(프리미엄) 한다. 주주 참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구성원은 PS의 최소 10%에서 최대 50%까지 10% 단위로 주식을 선택할 수 있다. 

PS는 연간 영업이익의 10%를 재원으로 삼아, 기본급의 최대 1000%까지 지급하는 성과급 제도다. 앞서 곽노정 사장은 지난해 말 PS와 관련 "설 전인 1월 내 지급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제공=픽사베이]
[제공=픽사베이]

이는 임직원들의 책임감을 높이고 회사의 장기적인 성과·가치를 공유하도록 유도, 인재 유출을 막기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국내 반도체 기업들의 핵심 인력에 대한 중국 반도체 기업들의 영입 공세는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특히 중국의 이러한 공세는 단순히 대형 기업의 인력만을 겨냥하는 것이 아닌 신흥 AI 반도체 기업·장비 회사 등으로 시선을 돌리고 있다는 점에서 업계 긴장도를 높이고 있다.

실제 삼성전자 반도체 공정 핵심 기술인력의 중국 이직을 알선한 브로커들이 무더기로 검찰에 넘겨 지기도 했으며 최근에는 미국 마이크론테크놀로지와 중국 창신메모리(CXMT)가 국내 반도체 인력을 적극 채용에 나서 인재 유출에 대한 우려를 낳기도 했다.

이들의 주요 타깃은 삼성전자·SK하이닉스에서 5~10년간 경력을 쌓은 엔지니어로, 이들 기업의 메모리 기술 유출 우려까지 제기되고 있다. 

이에 국내 반도체 기업들은 자사주를 활용한 성과급 지급 외에도 다양한 인재 보호 정책을 강화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앞으로 국내 반도체 기업들은 회사의 성과와 가치를 직접적으로 공유하게 함으로써 인재의 단기적 이탈 방지뿐 아니라 장기적 충성도를 높여나갈 것으로 보인다"며 "기술 유출 방지를 위한 내부 규정을 재정비하고, 연구개발 투자 확대를 통한 기술 경쟁력 유지에도 힘을 쏟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