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철강업계가 불황에 직면한 가운데, 정부가 철강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지원책 마련에 나섰다.
30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후판 가격 협상 장기화, 저가 중국산 철강재의 범람, 달러 강세, 미국발 무역관세 확대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철강업계가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2일 발표한 ‘2025년 경제정책방향’에 철강산업 지원 대책을 포함했다. 정책의 주요 목표는 고부가가치 철강 기술 개발, 저탄소 철강 생산 체제 전환, 디지털 전환 등으로, 철강산업의 구조적 전환을 가속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특히 고부가 특수강 개발을 위한 새로운 연구개발(R&D)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철강산업의 기술적 우위를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는 지난 9일 정부, 산업계, 학계가 함께 참여하는 철강산업 태스크포스(TF)를 출범했다. 이번 TF는 단기적으로는 통상 현안에 민관이 협력해 대응하고, 장기적으로는 철강산업의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역할을 맡는다. TF는 경쟁력 강화, 저탄소 철강, 통상 현안 등 3개 분과로 구성돼 분야별 전문성을 높였다.
산업부는 또 ‘2025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통해 상반기 중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여기에는 철강산업의 탈탄소화 지원을 위한 9000억 원 규모의 ‘한국형 수소환원제철 기술개발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완료 계획도 포함됐다. 수소환원제철 기술은 석탄 대신 수소를 활용해 철강을 생산하는 친환경 기술로, 탄소 배출을 줄이고 글로벌 탈탄소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과제로 평가받는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국내 기업들은 해외에 생산 거점 마련 추진 등 위기 돌파를 위하 자구책을 마련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며 "하지만 중국의 저렴한 철강재와 보호무역 주의 확산 분위기 속에서는 정부 차원의 움직임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