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제공=연합]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제공=연합]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첫 통화정책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지난해 9월부터 이어진 피벗 기조가 4개월 만에 중단된 것이다.

연준은 29일(현지시간) 이틀 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 기준금리를 기존과 동일한 4.25~4.5%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이로써 한국(3.00%)과의 기준금리 차이는 1.50%포인트로 유지됐다. 앞서 연준은 지난해 9월부터 3차례(9월·11월·12월) 연속으로 금리를 인하한 바 있다.

미국 경제 부흥을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하도록 요구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강한 압박에도 불구, 연준은 트럼프 정부 출범 후 첫 통화정책으로 이목이 쏠린 FOMC 회의에서 예상대로 동결 결정을 내렸다.

이는 이번 회의를 앞두고 나온 시장 전문가의 예상과 대체로 일치한다. 최근 인플레이션 둔화세, 당분간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새 정책에 대한 평가 필요성 등을 고려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연준은 이날 성명에서 "실업률은 최근 몇 달 동안 낮은 수준에서 안정됐으며, 노동시장 상황은 견조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면서도 "인플레이션은 다소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달 회의 후 성명에서 인플레이션 수준을 평가하면서 나온 "위원회의 목표치인 2%에 근접했다"는 표현은 이번 성명에서는 빠졌다.

연준은 또 "고용과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에 대한 위험이 대체로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판단한다"며 "경제 전망은 불확실하며, FOMC는 양대 책무(최대 고용·물가 안정)의 양 측면에 대한 위험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파월 연준 의장은 앞서 4개월 동안 1%포인트 정책금리를 낮춘 것에 대해 "적절했다"면서 "우리의 정책 입장은 이전보다 크게 덜 제한적이고, 경제는 여전히 강하다"면서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다.

연준의 이번 결정으로 한국(3.0%)과 미국 간 금리차는 상단 기준으로 1.50%포인트로 유지됐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16일(한국시간) 열린 새해 첫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높은 원/달러 환율 등을 고려해 기준금리를 동결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