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건설 현장, 기사와 무관. [출처=연합뉴스]](https://cdn.ebn.co.kr/news/photo/202502/1650232_662636_1958.png)
지난해 전산업생산이 반도체 수출 회복 등 영향으로 전년보다 호조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서비스 생산, 소매판매, 건설 등 내수 지표 등은 모두 부진해 부문별 온도차가 더 커진 것으로 분석됐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산업생산 지수는 113.6(2020년=100)으로 전년보다 1.7%가 증가했다.
특히 반도체 중심의 수출 영향으로 증가 폭이 전년(1.0%)보다 확대됐다.
광공업 생산은 4.1% 증가하며 전체 산업생산의 호조세를 이끌었고, 제조업도 4.4% 증가하며 증가세로 전환했다.
반면 서비스 생산은 1.4% 증가에 그쳤다. 이는 전년(3.2%)의 증가 폭을 크게 밑도는 수치로, 2020년(-2.0%) 이후 최소 폭이다.
소매판매액도 2.2% 감소했다. 신용카드 대란 사태가 있던 2003년(-3.2%) 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건설기성도 4.9% 감소하며 2021년(-6.7%) 이후 최대 폭으로 줄었다.
관련기사
- 트럼프, 캐나다·멕시코·중국에 대규모 관세 부과… 글로벌 무역전쟁 본격화
- 대출 규제 영향에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 상승세 지속
- 지난해 경상 GDP 성장...외환위기 후 최대 상승
- [Weekly 건설·부동산] 2월 중견 주택 분양, 지난해 대비 80% 감소 등
- 혹독한 신고식 치른 ‘2개월차’ 현대건설 이한우號
- 최상목 권한대행 "수출 모멘텀 확대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
- 인천 송도 노른자 'G5' 블록, 공동주택 건립 사업 본격화
- 2월 전국 분양 물량 1.2만 가구…전년 동기 比 51% '뚝↓'
- [Constr. & Now] 현대건설, 지속 성장 위한 미래 핵심기술 확보 가속화 등
- 5월 산업생산 1.1% ↓…제조업 부진에 2개월 연속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