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관세 전쟁' 현실화…트럼프 10% 관세에 중국도 맞불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대해 예고했던 10% 추가 관세가 '반전' 없이 예정대로 발효된 가운데 중국 역시 곧바로 '맞불 관세'로 대응하고 나서면서 양국 간 관세 전쟁이 사실상 현실화됐다. 다만 동맹인 캐나다와 멕시코에까지 무차별적으로 관세를 부과하는 것에서 한발 물러서면서, 당초 중국·멕시코·캐나다 3개국을 상대로 선전포고 했던 트럼프발 '무역전쟁'은 전선을 중국으로 좁힌 채 시작하게 됐다.
■‘안전 최우선’ 경년 항공기 교체 릴레이…신기재 도입 '사활'
국내 항공사가 새로운 항공기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기령 20년을 초과한 ‘경년 항공기’를 교체해 항공 안전과 연료 효율성을 동시 잡겠다는 의도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20년된 항공기는 약 7~8만km 주행한 자동차와 비슷해 안정성을 우려할 정도는 아니다”며 “기존 항공기의 기체 피로도 점검, 항공기 주요 기골에 대한 수리·개조 등 세부적이고 완벽한 점검으로 항공 안정성 우려를 종식시켜야 한다”고 조언했다.
■K-디스플레이, 차세대 OLED로 中 추격 따돌린다
중국이 무서운 속도로 글로벌 디스플레이 시장을 잠식하면서 K-디스플레이의 입지를 위협하고 있다. 삼성과 LG는 고부가가치 제품인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경쟁력을 강화해 중국 업체들과의 격차를 벌리고 수익성 개선을 노린다는 전략이다.
■해외 곳곳 침투하는 K-톡신…수출효자 노릇 '톡톡'
K-미용·성형이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끌면서 국내 주요 보툴리눔 톡신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K-미용·성형에 대한 관심이 높은 이때 해외 대형 시장을 빠르게 공략해 수익성을 끌어올리겠단 심산이다. 국내 주요 보툴리눔 톡신 기업들의 글로벌 진출이 빨라지면서 국가 차원의 수출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따라 보툴리눔 톡신 수출은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성장을 이어갈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컨선 시장 '숨고르기'…동맹체제 '재편' 파장은
글로벌 주요 선사의 해운동맹 구도가 새로이 재편되고 있다. 국내 최대 해운사인 HMM도 신규 동맹인 ‘프리미어 얼라이언스’ 출범한다. 해상운송 시장이 중국의 춘절 연휴 물동량 감소 등에 따라 최근 약세 전환했다. 불안했던 중동 정세가 이스라엘·하마스의 휴전 합의로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다. 연초 최대 물류 리스크였던 미 동부 항만노조의 파업 철회 소식으로 컨테이너선 운임 시황은 하방압력이 더해지고 있는 모양새다.
■오락가락 ‘비트코인’…저가매수 vs 고점경고
취임 전 가상자산 대통령이라 불리던 트럼프 취임 후 비트코인 가격 변동성이 커지며 투자자들의 근심이 깊어지고 있다. 미국 발 관세 전쟁 우려에 전일 10만 달러 선이 붕괴됐던 비트코인이 하루 만에 다시 가격을 회복하긴 했으나 불안한 정세에 위험자산 회피심리가 짙어지며 일각에서 고점 경고 신호가 나오는가 하면 지금이 저가매수 기회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 [EBN 오늘(3일) 이슈 종합] 이재용 사법리스크 마침표, 트럼프 '관세 폭탄' 현실화 등
- [EBN 오늘(2일) 이슈 종합] 불붙은 트럼프發 관세전쟁, 현대차·기아 1월 美 판매 '역대 최대' 등
- [EBN 오늘(1일) 이슈 종합] 美, 관세 부과 강행 '예고' 등
- [EBN 오늘(31일) 이슈 종합]테무 제재 못했더니 결국 2차 피해, 삼성 계열사 감사팀→ '경영진단팀' 변경...고강도 사업점검 예고 등
- [EBN 오늘(30일) 이슈 종합] 대형건설사들, 잠실 우성아파트 재건축 시공권에 '군침' 등
-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 "미중 관세 전쟁 대응, 해외무역관 지원센터 가동"
- [EBN 오늘(6일) 이슈 종합] 검찰 '부당합병 무죄' 이재용 상고심의위 심의 요청 등